홈으로
  • 프린트하기
흰가루병(백분병)의 학명,영명,일명,목명 및 과명,분포,가해수종,발생월,첨부이미지,형태,피해,생태,방제법,기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흰가루병(백분병)
학명 Phyllactinia corylea 등
학명 Powdery mildew
일명 Udonko-byo
분포 한국, 전세계(열대,온대지역)
가해수종
발생월  
첨부이미지
형태 우리나라에서 300여종(餘種)의 기주식물(寄主植物)에서 11속(屬) 80여종(餘種)의 흰가루병이 알려져 있다. 흰가루병은 각 균종(菌種)에 따라 기주특이성(寄主特異性)이 있으며, 대표적인 수목의 흰가루병균은 다음과 같고, 특히 잎뒷면에 발생하는 것을 뒷면흰가루병이라고 한다. 병원균(病原菌)의 균사(菌絲)는 대부분 기주식물(寄主植物)의 표면에 존재하며, 일부의 균사(菌絲)와 흡기(吸器)를 기주식물(寄主植物)의 조직속에 박고 영양분을 섭취한다. 흰가루병균은
피해 임지수목(林地樹木)의 경우 방제가 필요할 정도로 피해가 심하지는 않으나 묘포에서는 나무전체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처럼 심하게 감염되기도 한다. 큰 나무에서도 어린 눈이나 새순이 침해를 받으면 위축(萎縮)되어 기형으로 되고 나무의 생육이 떨어진다. 주로 늦가을에 심하게 감염되므로 배롱나무등의 조경수목에서는 미관적 가치를 크게 떨어 뜨린다.
생태
방제법 제 병든 낙엽은 모두 모아서 태움으로써 이듬해의 전염원(傳染源)을 없앤다. 조경수목(造景樹木)에서는 이른 봄 가지치기를 할 때 병든 가지를 모두 제거한다. 봄에 새순이 나오기 전에는 석회유황합제(石灰硫黃合劑)를 1~2회 살포(撒布)하며 여름에는 만코지수화제(水和濟), 지오판수화제(水和濟), 베노밀수화제(水和濟)등을 2주간격으로 살포(撒布)한다. 특히 묘포에서는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므로 장마철 이후에는 반드시 예방위주의 약제살포(藥劑撒布)가 필요하
기타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 평점 4.5/5 ]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