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OV(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
UPOV(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란?
- 식물신품종보호제도 운영을 위한 국가간 협력기구로 법규 및 제도 등에 대한 사항을 관장
- UPOV(영어) 『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 UPOV(불어)『Union Internationale Pour la Protaection des Obtentions Vegetablue』
UPOV 설립목적
새로 육성된 식물품종을 각국이 공통의 기본원칙에 따라 보호하여 우수한 품종의 개발, 유통을 촉진함으로써 종자산업 발전에 기여
UPOV 주요임무
- 사무총장은 WIPO(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 세계지적 재산권 기구) 사무총장이 겸임
- UPOV의 기본적 활동 : 회원국 정부간의 협력 증진, 식물신품종보호법을 도입하려는 국가들을 지원, 품종요건의 심사기준 확립으로 회원국의 품종 심사 지원
UPOV 본부: 스위스(제네바)
UPOV 연혁
- 1961년 : 식물의 신품종 보호에 관한 국제조약 채택
- 1968년 : 식물의 신품종보호에 관한 국제연맹(UPOV) 발족
- 1972년: 분담금의 부담구분의 개정, 77년 발효
- 1978년 : 연맹가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약내용 개정(81년 발효)
- 1991년 : 육성자의 권리 강화, 보호대상작물의 확대 등(98년 발효)
UPOV 조직 UPOV 바로가기
UPOV 가입국 현황
지역별 | 국가명 |
---|---|
계 | 75개국 |
유 럽(37) | 오스트리아, 벨기에, 불가리아, 체코,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리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러시아, 슬로바키아,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우크라이나, 몰도바, 포르투갈,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라트비아, 벨로루시, 리투아니아, CPVO(유럽연합품종보호사무국), 알바니아, 아이슬란드, 터키, 세르비아, 마케도니아,몬테네그로,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아메리카(8) | 캐나다, 미국, 멕시코, 파나마, 니카라과, 도미니카공화국, 코스타리카, 트리니다드토바고 |
남아메리카(9) | 아르헨티나, 칠레, 콜롬비아, 에콰도르, 파라과이, 우루과이, 볼리비아, 브라질, 페루 |
대양주(2) |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
아시아(12) | 일본, 중국 ,이스라엘, 한국(2002.1.7, 50번째 가입국), 싱가포르, 요르단, 베트남, 오만, 그루지야,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
아프리카(6) | 남아프리카공화국, 케냐, 튀니지, 모로코, 아프리카지적재산권기구(OAPI, African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탄자니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