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해안 소나무의 적, 솔껍질깍지벌레 피해 정밀조사
  • 작성일2011-04-21
  • 작성자대변인 / 장병영 / 042-481-4078
  • 조회1357
  • 음성듣기
    음성듣기
해안 소나무의 적, 솔껍질깍지벌레 피해 정밀조사 이미지1

21일부터 한달간 서·남해안 등 56개 시군구서 해송림 피해실태 조사

남서해안 지역 소나무(해송)에 피해를 주는 솔껍질깍지벌레 발생 조사가 21일부터 시작된다. 산림청(청장 이돈구)은 피해가 외관상 가장 잘 나타나는 시기를 맞아 이날부터 5월20일까지 전국 56개 시 군 구에서 서울 남산 면적의 75배인 2만1855ha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솔껍질깍지벌레피해 발생조사를 실시한다.

서해안의 충남 태안부터 남해안을 거쳐 경북 포항·경주에 이르기까지 해안선 지역의 작년 피해지, 피해 선단지 등이 중점 조사 대상이다. 산림청은 이번 정밀조사 결과를 토대로 방제계획을 수립해 9월부터 11월까지 강도 솎아베기 중심의 임업적 방제, 12월에는 나무주사를 각각 실행할 계획이다.

솔껍질깍지벌레는 1963년 전남 고흥 비봉산에서 최초 발생한 이후 지속적으로 늘어나 2007년에는 4만7000ha에까지 이르렀으나 정밀조사와 함께 임상과 피해양상에 따른 맞춤형 방제가 실시되면서 2008년부터는 감소 추세로 들어서 지난해는 피해 면적이 2만2000ha로 급감했다.

이명수 산림청 산림병해충과장은 "지속적인 정밀예찰과 적기 방제로 솔껍질깍지벌레 피해 감소세를 유지할 계획"이라며 "해수욕장 등 생활권 주변 생육환경 불량 해송림 지역을 생태적으로 건강하게 집중 관리하는 '해안 우량 해송림 종합방제사업'을 실시해 쾌적한 국토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문 의 : 산림청 산림병해충과 최현수 주무관(042-481-4069)

첨부파일
  • 13.jpg [479.1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