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희귀·멸종위기종'히어리'대량증식 성공
  • 작성일2014-04-02
  • 작성자연구기획과 / 지정훈
  • 조회2996
  • 음성듣기
    음성듣기
희귀·멸종위기종'히어리'대량증식 성공 이미지1

산림과학원, 조직배양기술 10년 연구 결실 맺어... 배양묘 개화 시작
농가 소득용 묘목보급 및 분재소재 활용으로 외국 수출 가능 시사

nbsp;

멸종위기의 희귀특산 식물인 '히어리'의 대량증식 기술이 성공함에 따라 농가소득창출 및 외국수출 가능성이 기대된다.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윤영균)은 "희귀·소멸위기 유전자원 보존사업의 일환으로 2003년부터 한국 특산 히어리의 조직배양 증식기술을 개발해 왔다"며 "금년부터 배양묘의 본격 개화가 시작됐다"고 1일 밝혔다.
'히어리'는 이른 봄 잎이 나기 전, 노란 꽃잎이 포도송이처럼 한데 모여 피어난다. 초롱 모양으로 땅을 향해 거꾸로 매달린 모습이 아름다워 관상수로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환경부는 이 꽃을 보호식물 52종 가운데 하나로 지정했다. 히어리는 일명 납판화(蠟板花)라고 불린다. 영명은 'Korean Winter Hazel'로 한국의 겨울 개암나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번 조직배양 증식기술에 사용된 히어리는 경남 남해 금산과 지리산의 히어리 자생지에서 선발한 것으로 꽃과 잎 무늬가 아름다워 신품종으로 개발할 가치가 높았다.
국립산림과학원 생물공학연구팀은 조직배양을 통해 얻어진 어린 식물체를 온실 내에서 순화과정과 야외에서 10년 이상의 적응성 시험을 통해 정상적인 생장과 효율적인 대량번식 기술을 체계화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문흥규 과장은 "히어리의 조직배양 증식기술은 10년에 걸친 연구 결실이다"며 "앞으로 히어리 유전자원의 보존은 물론, 관상가치가 큰 히어리의 농가 소득용 묘목 보급 및 분재소재의 활용을 통한 외국 수출도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한편 한국 특산 히어리는 1984년과 1987년에 미국으로 유출되어 모리스 수목원 등에서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산림과학원은 현재 육성중인 히어리 300여 본의 묘목은 수목원 등을 통해 보급하여 일반인에게도 공개될 예정이며, 지속적으로 우리나라의 산림유전자원 보전을 위해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첨부파일
  • 040202.jpg [378.6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