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답변 : 호두나무 병해충 질의
  • 작성일2023-12-22
  • 작성자 산림병해충연구과 / 박기형 / 02-961-2662
  • 조회172
안녕하십니까? 산림보호에 관심을 갖고 질의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1. 호두나무갈색썩음병의 경우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해로 잎, 열매 등에 반점이 생기고 가지와 줄기에 궤양이 발생하는 병징이 있습니다. 호두나무갈색썩음병의 병징은 탄저병의 병징과 유사하여 병징만으로는 구별이 어렵기에 시료를 전문기관(국립나무병원, 공립나무병원, 수목진단센터 등)에 의뢰해야 진단이 가능합니다.

2. 호두나무갈색썩음병의 경우 눈트기 전(3-4월) 및 잎 피기 전(5월말-6월초)에 방제작업을 수행합니다. 눈트기 전(3-4월)은 방제 적기로 7~10일 간격으로 약제를 살포하되 전년에 병이 발생되었던 사군구에는 2~3회, 그 인접 사군구에는 1~2회 방제하시면 됩니다. 부득이한 경우 잎 피기 전(5월말~6월초)에 7~10일 간격으로 약제를 살포하되 전년에 병이 발생되었던 사군구의 경우 4~5회, 그 인접 사군구에는 3~4회 방제하십시오.

3. 약제의 경우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수화제 500배액 및 옥신코퍼 수화제 500배액을 사용 가능하며 병원균의 저항성 증가를 막기 위해 해당 약제들의 교차사용을 추천드립니다. 그러나 구리가 함유되어 있는 약제는 나무 생육기에 처리 시 약해 우려가 있으니, 사용에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세균의 경우 생장 조건이 알맞을 경우 매우 빠르게 증식하며, 특히 습한 환경에서 증식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습도가 높게 유지되는 기간이 길수록 병 발생 확률이 높아집니다. 비가 자주 오는 기간에 적절한 약재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5. 호두나무 세균성마름병(가칭)의 경우 호두나무갈색썩음병, 탄저병과 유사한 병징을 나타내며 기존 호두나무갈색썩음병과 동일한 방제약제를 사용하면 방제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귀하의 질의에 만족스러운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답변 내용에 대한 추가 설명이 필요한 경우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나무병원(02-961-2677) 또는 산림병해충연구과 박기형(02-961-2662)에게 연락주시면 친절히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희 산림청을 찾아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