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산불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 작성일2023-05-29
  • 작성자 이**
  • 조회209
산불 피해지에 조림된 수종들의 초기 생존율은 소나무 평균 89% 활엽수 평균 53%입니다. 하지만 활엽수가 소나무보다 불 잘 버틴다고 하는데 이 보도 자료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소나무는 산불에 매우 취약하지만, 소나무는 굉장히 생존력이 강해서 계속해서 우리나라에는 소나무가 많아질 것 같은데 그렇다면 있는 소나무를 베어버려야 하나요?
- 그리고 산림청에서 활엽수를 많이 심으려고 정책적으로 노력을 했던 것 같은데 활엽수 묘목이 별로 없어서 이 정책이 실패한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산불 피해지에 꼭 나무를 심어야 하나요?
-우리나라가 소나무에 집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나라에서는 정책적으로 사유림에 나무 심는 것을 제한을 둘 수는 없나요?
-한국과 비슷하게 국토의 60%가 산림인 핀란드는 약 13만km 이상의 임도 개설로 진화 인력 및 장비의 접근성을 향상해 산불 피해 면적을 0.4ha/건으로 감소 시켰다는데 한국은 왜 그렇게 못했을까요?
- 주요 임도 거리가 1m씩 멀어질수록 산불 피해 면적 1.54m² 씩 증가한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산불이 어디서 날지 모르기에 산에 지금보다 더 많은 임도가 생기면 그만큼 나무가 사라지고 동물의 서식지도 잃어 환경파괴가 될 텐데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은 뭐가 있을까요?
- 활엽수와 침엽수의 비율을 나눠 조금이라도 섞어 심으면 안 될까요?
-강원도 산불 때 임도가 바로 앞에 설계되었고 바다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빠른 진화가 되지 않고 큰불이 났나요?
-지금 기술로는 충분히 침엽수의 빨리 자라는 성질과 활엽수의 잘 안 타는 성질을 섞어서 만드는 것을 연구하며 임도 설치하는 거 대신 이걸 연구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에 대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