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답변 : 백색부후균과 지의류를 육안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작성일2025-04-11
  • 작성자 산림생물보전연구과 / 김창선 / 031-540-8953
  • 조회1196
1. 안녕하십니까? 모두가 누릴 수 있는 경제적, 생태적으로 건강한 산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산림청입니다.

2. 귀하께서 문의하신 사항은 “백색부후균과 지의류 육안 구분 및 백색부후균을 어디서 채취할 수 있는가 ?”에 관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3. 백색부후균은 버섯균 중에서 담자균류에 해당하는 균류로, 목재의 리그닌을 분해하면서 색을 하얗게 변화시키기 때문에 백색부후균이라 칭합니다. 반면에 지의류는 균류(자낭균류 및 일부 담자균류)와 조류(algae) 또는 남세균이 공생하여 형성된 생물체로, 균류는 물과 무기물을 제공하고 조류 또는 남세균은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성하여 함께 살아가는데 이로 인해서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할 수 있고,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 갈 수 있습니다. 백색부후균은 주로 나무에 서식하고 지의류는 다양한 환경(나무, 돌, 인공구조물 등)에서 서식하기에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백색부후균은 나무에 흰색의 균사상태로 있으므로 흰색이나 살짝 아이보리 색을 나타내는 반면, 지의류는 광합성을 하는 엽록소가 있어 약간 녹색이 있고 종에 따라서 이끼와 비슷한 모습을 하기도 하지만, 자낭균과 공생하고 있기에 이들 종류에 따라 검은색, 회색 등의 무늬나 특정 패턴을 띠기도 합니다.

4. 자세한 형태 비교는 버섯도감 및 지의류 도감 등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백색부후균의 경우 죽어가는 나무나 죽은 나무에 서식하고 있으므로 이점 참고하시면 쉽게 채취하실 수 있습니다. 백색부후균에 해당하는 버섯으로는 느타리버섯, 목이, 치마버섯, 구름송편버섯, 조개껍질버섯, 잎새버섯, 구멍장이버섯, 뽕나무버섯, 한입버섯 등 다양합니다.

5. 본 답변과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으실 경우 산림청 국립수목원 김창선 연구사((전화 031-540-8953, 팩스 031-540-8999, 전자메일 changsun84@korea.kr)에게 연락주시면 자세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끝.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