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산불진화 이렇게 달라진다.
  • 작성일2011-03-16
  • 작성자영암산림항공관리소 / 본부
  • 조회913
  • 음성듣기
    음성듣기


복잡한 섬 지역 헬기위치추적시스템으로 찾아간다.







2011년도는 봄철 산불진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형 산불이 많이 발생하는 3월 중순이후 4월초까지 평년에 비해 강수량이 적기 때문이다. 산림청 영암산림항공관리소(소장 우인걸) 에서는 이 기간동안 산불발생시 GPS, CDMA, PDA등 상용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통합관제시스템을 갖추고, 효율적인 산림항공기 운영으로 대형산불 예방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금년도는 2010년까지 산불상황실에서 운영해오던 FM 무선통신이 실시간 헬기위치추적시스템을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으로 달라져 상황실에서의 현장지휘 지원이 가능하다. 이는 산림청 47대 헬기의 좌표, 고도, 속도, 방향등의 위치정보가 산불상황실 전자지도에 표시됨으로써 산불발생 지역과 근접한 지역에서 비행중인 헬기를 출동시킬 수 있어 초동진화에 큰 도움이 된다. 또한 무선통신이 두절되는 지역에서 상황실과 헬기 간 지휘통제능력이 상실되어도, 상황실에서는 헬기에 설치된 PDA로 문자를 전송할 수 있어 상황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산불로부터 취약한 섬 지역 산불에도 효과적이다. 전라남도는 섬이 총 2,219개(유인도 296개, 무인도 1,923개) 1,867㎢에 달하며, 많은 섬만큼 복잡한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그만큼 산불진화 헬기가 해무로 인해 해안기상이 악화될 경우에는 산불이 발생한 섬을 찾아가는데 어려움이 많다. 하지만 이번 헬기위치추적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헬기의 지리적 정보를 상황실로부터 안내받을 수 있어 산불지역까지의 이동이 용이하다.







산림항공관계자는 ldquo;헬기위치추적시스템의 도입으로 산불진화시스템은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당장 연초부터 지금까지 22건의 산불진화에 헬기위치추적시스템을 이용하면서 많은 효과를 봤습니다. 또한 3월 중순부터는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할 것이고 그에 따라 많은 헬기가 투입되므로 위험상황이 많이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황실과 헬기간의 지휘체계를 확립하면 신속한 산불진화 및 안전운항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rdquo;라고 하였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