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우리나라의 산불 대비 방안 체제는 어떤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을까?
  • 작성일2025-05-28
  • 작성자 김**
  • 조회743
부산국제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김지민이라고 합니다. 기후 변화가 이끈 산불에 대한 소논문 작성을 진행하다 보니 대한민국의 산불 예방 및 대처 방안에 대해 어떤 정책이 시행될 수 있을지 고민해보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해외의 실제 사례를 들어 우리나라 산불체제의 시사점을 제시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는,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NEPA)'가 주도하는 firewise USA 커뮤니티를 통해서 주택과 공동체의 산불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각 공동체들이 직접 나서서 산불 예방과 산림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공식적인 커뮤니티를 형성한다면 소속감 또한 늘어날 것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서로간에 예방 방안을 공유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를 통해 산불 없이 푸르른 우리나라의 산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호주에서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연기를 조기에 감지하는 시스템인 파이어스카우트를 도입하여 더욱 적극적으로 산불 조기예방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AI기술을 적극 사용하면 갈수록 인공지능에 의해 변화하는 세계의 정세에 맞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부담스러운 소방공무원들의 업무를 일부 덜 수도 있습니다.
학생 개인으로서는 산불이라는 재해를 완전히 막을 수 없지만, 사람들과 생각을 공유하고 해결책들을 제시해보면 더이상 산림이 작은 불씨로 시작해 크게 훼손되는 비극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제가 고안해본 산불의 대비 방안들이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