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2022년 입목벌채허가(신고) 및 용도별 목재공급 실적

  • 목재수급량은 증가하였으나, 목재자급률(15.9%→15.0%)은 하락
    • 목재수급량(천㎥) : (’21) 28,403 → (’22) 28,683 / 증가 1.0%
  • 원목생산량은 감소하였으나, 원목자급률(55.7%→58.6%)은 상승
    • 원목생산량(천㎥) : (’21) 3,852 → (’22) 3,700 / 감소 3.9%
총괄 현황

(단위 : 천㎥)

목재생산 및 수급 현황

이 표는 2021년, 2022년의 목재생산 및 수급현황의 수량 및 비율에 대한 증감표입니다.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 비고
수량 비율(%)
목재수급량 28,403 28,683 280 1.0 -
국산목재공급량 4,502 4,309 △193 △4.3 목재자급률 0.9%p 하락
* ('21)15.9 → ('22)15.0%
목재수입량 23,552 24,162 610 2.6 -
목재수출량 349 212 △137 △39.3 -
입목벌채허가량 4,911 4,742 △169 △3.4 -
원목생산량 3,852 3,700 △152 △3.9 원목자급률 2.9%p 상승
* ('21)55.7 → ('22)58.6%

* 목재수급량 = 국산목재공급량 + 목재수입량 + 목재수출량

목재자급률 감소 원인 분석
  • 벌채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따른 목재생산 확대 어려움
    * 벌채량(4,911천㎥→4,742천㎥,△3.4%), 국산목재공급량(4,502천㎥→4,309천㎥,△4.3%)
  • 목재 수입량 증가에 따라 전체 목재 수급량이 증가하여 자급률 하락
    * 목재 수입량(천㎥) : (’20) 23,478 → (’21) 23,552 → (’22) 24,162, 2.6%
    * 목재 수급량(천㎥) : (’20) 27,925 → (’21) 28,403 → (’22) 28,683, 1.0%
금후 목재자급률 향상 계획
  • 벌채 친환경성 제고 및 국민공감대 형성을 통한 목재생산 활성화
    * 대면적 벌채지에 대한 사전 타당성 조사 의무화, 최대 벌채면적 축소 등
    * ‘국산목재이용=탄소중립’, ‘목재생산→탄소흡수량확대’ 등 목재이용 홍보
  • 국내 목재생산 확대를 위한 인프라 확충 및 가격 경쟁력 강화
    * 임도 확충 및 고성능 임업기계장비 보급을 통해 국산 목재의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목재생산 가능면적을 확대

2022년 목재자급률 및 원목자급률

목재자급률은 15.0%로 2021년 15.9%에 비해 0.9%p 하락
  • 바이오매스용 수입 증가로 목재수입량이 증가한 반면, 국산목재 공급량은 감소하여, 목재자급률은 전년 대비 하락
    * 목재자급률(%) : (’19) 16.6 → (’20) 15.9 → (’21) 15.9 → (’22) 15.0
원목자급률은 58.6%로 2021년 55.7%에 비해 2.9%p 상승
  • 국내 원목생산량은 감소하였으나, 원목수입량도 감소하여 원목자급률 상승
    * 원목자급률(%) : (’19) 62.0 → (’20) 60.3 → (’21) 55.7 → (’22) 58.6
[2022년 목재수급 및 자급률]

(단위 : 천㎥)

2022년 목재수급 및 자급률

이 표는 제재용,합판용,펄프용,보드용,바이오매스용,기타의 원목,부산물, 제품의 국내재, 수출입재, 자급률(%) 실적에 대한 2022년목재수급 실적표입니다.

구분 합계 국내재 수출·입재 자급률(%)
원목 부산물 제품 원목 부산물 원목 제품 원목 총목재
합계 28,683 6,310 609 21,764 4,309 3,700 609 24,374 2,610 21,764 58.6 15.0
제재용 4,760 2,936 - 1,824 538 538 - 4,222 2,398 1,824 18.3 11.3
합판용 1,835 187 - 1,648 - - - 1,835 187 1,648 - -
펄프용 9,319 738 - 8,581 738 738 - 8,581 - 8,581 100 7.9
보드용 2,706 1,264 - 1,442 1,239 1,239 - 1,467 25 1,442 98.0 45.8
바이오매스용 7,584 490 564 6,530 1,054 490 564 6,530 - 6,530 100 13.9
기타 2,479 695 45 1,739 740 695 45 1,739 - 1,739 100 29.9

* ’19년부터 국내재를 원목과 부산물로 구분 작성

* 기타용도는 주택, 표고자목, 장작, 목탄 등

2022년 입목벌채 허가 실적

벌채면적은 107,042ha로 전년 94,155ha 대비 13.7% 증가
  • (사업종별) 피해목벌채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수확벌채, 골라베기, 숲가꾸기, 수종갱신, 산지전용, 기타벌채는 감소
  • (소유별) 국유림에서는 감소하였으나, 민유림에서 크게 증가
  • (경제림여부) 경제림에서는 감소하였으나, 일반림에서는 크게 증가
벌채량은 4,742천㎥로 전년 4,911천㎥ 대비 3.4% 감소
  • (사업종별) 수확벌채, 골라베기는 증가하였으나, 피해목벌채, 숲가꾸기, 수종갱신, 산지전용은 감소
  • (소유별) 국유림과 민유림에서 벌채량 모두 감소
  • (경제림여부) 일반림에서는 전년과 같으나, 경제림에서는 감소
[벌채사업종 및 산림구분별 벌채 실적]

(단위 : ha, 천㎥)

벌채 사업종별 벌채실적

이 표는 2021년, 2022년 벌채사업종별(수확벌채,수익간벌,숲가꾸기,수종갱신,피해목,산지전용,기타) 과 소유별(국유림,민유림), 기능별(경제림, 일반림) 벌채면적과 벌채량에 대한 실적표입니다.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
벌채
면적
벌채량 벌채
면적
벌채량 벌채면적 벌채량
% %
벌채
사업
종별
94,155 4,911 107,042 4,742 12,887 13.7 △169 △3.4
수확벌채 14,998 2,312 14,768 2,369 △230 △1.5 57 2.5
골라베기 4,585 132 3,632 134 △953 △20.8 2 1.5
숲가꾸기 34,666 1,016 34,586 948 △80 △0.2 △68 △6.7
수종갱신 6,473 728 5,670 646 △803 △12.4 △82 △11.3
피해목 29,738 367 45,465 360 15,727 52.9 △7 △1.9
산지전용 3,359 341 2,658 270 △701 △20.9 △71 △20.8
기타 336 15 263 15 △73 △21.7 - -
소유별 94,155 4,911 107,042 4,742 12,887 13.7 △169 △3.4
국유림 8,240 519 8,092 473 △148 △1.8 △46 △8.9
민유림 85,915 4,392 98,950 4,269 13,035 15.2 △123 △2.8
기능여부 94,155 4,911 107,042 4,742 12,887 13.7 △169 △3.4
경제림 26,057 1,846 21,638 1,677 △4,419 △17.0 △169 △9.2
일반림 68,098 3,065 85,404 3,065 17,306 25.4 - -

* ’19년이후 벌채구역 면적에서 수림대 및 군상 잔존구를 제외한 실제 벌채면적 적용

2022년 입목벌채지 원목생산 실적

원목생산량은 3,700천㎥으로 전년 3,852천㎥ 대비 3.9% 감소
  • (사업종별) 수확벌채, 골라베기, 피해목벌채에서 증가하였으나, 숲가꾸기, 수종갱신, 산지전용에서 감소
  • (소유별) 국유림과 민유림에서 모두 원목 생산량 감소
  • (기능별) 경제림과 일반림에서 모두 원목 생산량 감소
생산율은 78.0%로 전년 78.4% 대비 0.4%p 하락
  • (사업종별) 골라베기, 피해목벌채에서 증가하였으나, 수확벌채, 숲가꾸기, 수종갱신, 산지전용에서 감소
  • (소유별) 국유림에서는 감소하였으나, 민유림에서 증가
  • (기능별) 일반림에서는 감소하였으나, 경제림에서는 증가

(단위 : ha, 천㎥)

이 표는 2021년, 2022년 벌채사업종별(수확벌채,수익간벌,숲가꾸기,수종갱신,피해목,산지전용,기타) 과 소유별(국유림,민유림), 경제림여부(경제림, 일반산림)의 생산량 및 생산율에 대한 실적표입니다.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
생산량 생산율(%) 생산량 생산율(%) 생산량 생산율(%)
% %
벌채
사업
종별
3,852 78.4 3,700 78.0 △152 △3.9 △0.4
수확벌채 2,238 96.8 2,282 96.3 44 2.0 △0.5
골라베기 96 72.7 115 85.8 19 19.8 13.1
숲가꾸기 271 26.7 194 20.5 △77 △28.4 △6.2
수종갱신 651 89.4 561 86.8 △90 △13.8 △2.6
피해목 267 72.8 288 80.0 21 7.9 7.2
산지전용 316 92.7 247 91.5 △69 △21.8 △1.2
기타 15 86.7 13 86.7 - - -
소유별 3,852 78.4 3,700 78.0 △152 △3.9 △0.4
국유림 405 78.0 334 70.6 △71 △17.5 △7.4
민유림 3,447 78.5 3,366 78.8 △81 △2.3 0.4
경제림
여부
3,852 78.4 3,700 78.0 △152 △3.9 △0.4
경제림 1,418 76.8 1,391 82.9 △27 △1.9 6.1
일반림 2,434 79.4 2,309 75.3 △125 △5.1 △4.1

* 원목외 부산물(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축사깔개 등) 수집량 제외

2022년 주요 수종별 벌채 현황

벌채면적 및 벌채량
  • (벌채면적) 침엽수 71.4%, 활엽수 28.6%
    - 수종별(%) : 소나무(58.6) > 참나무류(14.8) > 기타활엽수(13.8) > 낙엽송(4.4)
  • (벌채량) 침엽수 56.1%, 활엽수 43.9%
    - 수종별(%) : 소나무(33.4) > 참나무류(26.0) > 기타활엽수(17.9) > 낙엽송(10.5)
주요 수종별 벌채량
  • (소나무) 벌채량 1,582천㎥ : 개벌 73.2% >간벌 20.1% > 기타 6.6%
    * ha당 평균 벌채량 25.2㎥ : 개벌 74.3㎥ > 간벌24.5㎥> 기타3.1㎥
  • (참나무류) 벌채량 1,235천㎥ : 개벌 77.8% >간벌 22.1% > 기타 0.1%
    * ha당 평균 벌채량 78.1㎥ : 개벌 147.5㎥> 간벌 29.5㎥ > 기타23.1㎥
  • (기타활엽수) 벌채량 848천㎥ : 개벌 58.2% >간벌 37.5% > 기타 4.3%
    * ha당 평균 벌채량 57.4㎥ : 기타 299.6㎥> 개벌 115.9㎥> 간벌 30.6㎥
  • (낙엽송) 벌채량 498천㎥ : 개벌 87.7% >간벌 12.2% > 기타 0.1%
    * ha당 평균 벌채량 105.5㎥ : 개벌174.4㎥> 간벌27.8㎥> 기타 15.0㎥
소유별 주요 수종 벌채량
  • (국유림) 기타활엽수27.4%>소나무26.3%>낙엽송19.2%>참나무류16.5%
  • (민유림) 소나무34.1%>참나무류27.1%>기타활엽수16.8%>낙엽송9.5%
    - 지역별 : 경북 17.5% > 강원 16.8% > 충남 10.9% > 충북 9.7% > 경남 9.4%
    * 소나무 : 강원 23.5% > 경북 22.0% > 경남 13.2% > 충남 9.7% > 전남 8.7%
    * 참나무류 : 경북 19.7% > 충북 16.5% > 강원 14.5% > 충남 12.9% > 경기 10.2%
    * 기타활엽수 : 경북 16.2% > 경남 12.5% > 충남 10.6% > 경기 10.2% > 전남 9.2%
    * 낙엽송 : 강원 29.4% > 충북 17.8% > 경북 13.1% > 전북 7.2% > 경기 6.0%

2022년 용도별 국산목재 생산 실적

국산목재 생산량은 4,309천㎥으로 전년 4,502천㎥ 대비 4.3% 감소
  • (소유별) 생산량 비율은 국유림 9.4%, 민유림 90.6%
    - 국유림은 407천㎥으로 전년 485천㎥ 대비 16.1% 감소
    - 민유림은 3,902천㎥으로 전년 4,017천㎥ 대비 2.9% 감소
  • (용도별) 주요 용도별 생산량은 증가, 기타 용도의 생산량은 감소
    - 증감률 : 바이오매스(20.8%), 제재(5.2%), 보드(-), 합판(-), 펄프(△2.9),기타(△27.0%)
    - 비중 : 펄프(47.9%) > 기타(18.0%) > 제재(17.8%) > 바이오매스(15.8%) > 보드(0.3%) > 합판(0.3%)
[용도별 국산목재 생산·수집 실적]

(단위 : 천㎥)

이 표는 용도별(제재용,합판용,보드, 펄프,바이오매스, 표고자목, 톱밥, 장작, 목탄), 소유별(국유림, 민유림) 수량, 비율의 2021년,2022년 증감표입니다.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
수 량 비율(%) 수 량 비율(%) 수 량 비율(%)
용도별 4,502 100 4,309 100 △193 △4.3
제재 731 16.2 769 17.8 38 5.2
합판 12 0.3 12 0.3 - -
보드 13 0.3 13 0.3 - -
펄프 2,123 47.2 2,062 47.9 △61 △2.9
바이오
매스
562 12.5 679 15.8 117 20.8
기타 표고자목 183 4.1 160 3.7 △23 △12.6
톱밥 126 2.8 62 1.4 △64 △50.8
장작 40 0.9 49 1.1 9 22.5
목탄 23 0.5 29 0.7 6 26.1
기타 689 15.3 474 11.0 △215 △31.2
소유별 4,502 100 4,309 100 △193 △4.3
국유림 485 10.8 407 9.4 △78 △16.1
민유림 4,017 89.2 3,902 90.6 △115 △2.9

* 입목벌채허가신고를 근거로 작성한 것으로 실제 목재 이용 유통량과의 차이가 있음

2022년 목재수출입 현황

목재수입량은 24,162천㎥로 전년 23,552천㎥ 대비 3.3% 증가
  • (증감률) 바이오매스(21.0%), 기타(12.2%), 펄프(7.4%), 보드(△11.5%), 제재(△11.9%), 합판(△14.7%)
  • (비중) 펄프(34.9%) > 바이오매스(27.0%) > 제재(17.4%) > 합판(7.6%) > 기타(7.1%) > 보드(6.0%)
목재수출량은 212천㎥로 전년 349천㎥ 대비 44.7% 감소
  • (증감률) 보드(5.3%), 제재(-), 합판(-), 기타(△24.1%), 펄프(△53.3%)
  • (비중) 펄프(69.3%) >기타(12.7%) >보드(12.3%) >제재(2.8%) >합판(2.8%)
[용도별 목재 수출입 실적]

(단위 : 천㎥)

이 표는 수입용도별(제재,합판,펄프,보드,바이오매스,기타), 수출용도별(제재,합판,펄프,보드,기타) 수량, 비율의 2021년,2022년 증감표입니다.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
수 량 비율(%) 수 량 비율(%) 수 량 비율(%)
수입 23,552 100 24,162 100 610 3.3
제재 4,952 21.0 4,216 17.4 △736 △11.9
합판 1,977 8.4 1,829 7.6 △148 △14.7
펄프 8,206 34.8 8,434 34.9 228 7.4
보드 1,605 6.8 1,441 6.0 △164 △11.5
바이오매스 5,312 22.6 6,530 27.0 1,218 21.0
기타 1,500 6.4 1,712 7.1 212 12.2
수입 349 100 212 100 △137 △44.7
제재 7 2.0 6 2.8 △1 -
합판 4 1.1 6 2.8 2 -
펄프 276 79.1 147 69.3 △129 △53.3
보드 26 7.4 26 12.3 - 5.3
기타 36 10.3 27 12.7 △9 △24.1

※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를 근거로 작성하여 입목벌채허가신고 자료와는 차이가 있음

※ 기타용도는 성형목탄, 목재상자·팔레트, 목공품, 이쑤시개 등

원목시장가격 동향

전년 대비 모든 수종의 원목 시장가격이 상승
  • 유류비 상승에 따른 운반비(물류비) 상승 및 환율 상승에 따른 해외 원목가격 상승 등으로 원목 시장가격 상승
  • RPS 제도 시행 확대에 따른 바이오매스용 수요 급증으로 산업용재보다 원료재급에서의 상승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남
    * 용재(2등급) 증감률(%) : 낙엽송(4.6), 잣나무(4.3), 소나무(2.8), 리기다(1.8), 참나무류(0.4)
    * 원료재 증감률(%) : 낙엽송(17.0), 소나무(11.0), 잣나무(9.4), 리기다(4.8), 참나무류(0.2)
[원목 시장가격 동향]

(단위 : 원/㎥, %)

원목 시장가격 동향

이 표는 원목 등급별 2019년 4분기, 2020년 4분기,2021년 4분기(a),2022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b), 전년동기대비 증감(b-a) 전년동기대비 증감율(b-a)/a에 대한 안내표입니다.

등급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전년
동기
대비증·감
(b-a)
전년
동기
대비
증·감율
(b-a)/a
4분기 4분기 4분기(a)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b)
소나무2등급 189,500 171,700 195,400 201,100 197,800 198,400 200,800 5,400 2.8
소나무원료재 59,500 55,900 70,600 79,100 77,700 77,200 78,400 7,800 11.0
낙엽송2등급 147,300 145,100 179,100 182,900 182,700 184,200 187,400 8,300 4.6
낙엽송원료재 60,100 51,000 63,400 74,100 73,500 72,900 74,200 10,800 17.0
잣나무2등급 141,800 139,000 148,600 157,400 153,600 153,600 155,000 6,400 4.3
잣나무원료재 60,000 56,000 69,400 74,100 74,100 74,100 75,900 6,500 9.4
리기다2등급 119,400 118,400 127,100 130,300 128,900 128,100 129,400 2,300 1.8
리기다원료재 60,900 55,900 70,800 74,300 73,500 73,500 74,200 3,400 4.8
참나무2등급 108,400 104,600 106,300 107,200 106,200 105,700 106,700 400 0.4
참나무원료재 68,000 62,400 75,800 78,900 78,200 76,800 77,700 1,900 0.2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 평점 5/5 ]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