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2020년 입목벌채허가(신고) 및 용도별 목재공급 실적

  • 입목벌채량(천㎥) : 5,457(’19년 5,184 대비 5.3% 증가)
    • 전년 대비 감소(천㎥) : 숲가꾸기 867(149.2%), 산지전용 18(5.1%)
    • 전년 대비 증가(천㎥) : 수확벌채 296(△12.2%), 수종갱신 140(△15.2%), 피해목 118(△16.2%), 골라베기 48(△33.3), 기타벌채 10(△37.0%)
  • 원목수집량(천㎥) : 4,080(’19년 4,312 대비 5.4% 감소)
    • 수집 비율(%) : (’19) 83.2 → (’20) 74.8(△8.4%p)
  • 목재 공급량(천㎥) : 27,925(’19년 27,666 대비 0.9% 증가)
    • 국산 목재 공급량(천㎥) : 4,447(’19년 4,605 대비 3.4% 감소)
      * 전년대비 변동추이(%) : 국유림 감소(△5.2), 민유림 감소(△3.2)
      • 목재 자급률(%) : (’19) 16.6 → (’20) 15.9(감 0.7%p)
      • 원목 자급률(%) : (’19) 62.0 → (’20) 60.3(감 1.7%p)
    • 목재 수입량(천㎥) : 22,583(’19년 22,696 대비 0.5% 감소) *수출 895(145.2% 증가)
      • 수입 증가(천㎥) : 바이오매스용 601(14.0%), 합판용 9(0.5%)
      • 수입 감소(천㎥) : 칩,펄프용 370(△4.2%), 기타용 206(△12.6), 제재용 29(△0.6%), 보드용 118(△7.8%)
  • 목재 공급 실적 요약
    • 목조주택 착공 감소 등으로 국산목재 공급은 감소하였으나, 산림바이오매스용도 및 수출 증가로 전체 목재공급량은 소폭 상승
      • 목재공급량(천㎥) : (’19) 27,666 → (’20) 27,925(증 0.9%)
        * (한국은행) 건설투자지표(전년대비 %) : (’18) △4.6 → (’19) △2.5 → (’20전망) △0.1 *당초 △2.2
        * (목조주택 착공현황, 천동) : (’18) 12 → (’19) 10 → (’20) 9
    • 국산목재 공급 감소에 따라 목재자급률 및 원목자급률 소폭 감소
      • 전년대비 국산목재 공급은 원목이 감소하고 부산물 생산이 증가하였으나, 수입재보다 감소폭이 커 목재자급률 및 원목자급률 감소
        * 전년대비 국산목재 공급(천㎥,%) : 원목 (4,273 → 4,049, 감 5.2), 부산물 (332 → 398, 증 19.9)
        * 숲가꾸기 목재생산량 및 비율(천㎥/%) : (’18) 316 / 7.3 → (’19) 199 / 4.6 → (’20) 527 / 12.9
          ※ 숲가꾸기 벌채량 및 비율(천㎥/%) : (’18) 1,004 / 18.4 → (’19) 725 / 14.0 → (’20) 1,542 / 28.3
    • 원목가격은 수요 감소로 하락하였으나 4분기 이후 점차 회복하고 있음
      • 용재(2등급) 소나무(△9.4%), 원료재급 소나무(△11.6%)‧낙엽송(△11.8%)‧참나무(△8.2%)

2020년도 목재자급률 및 원목자급률

  • 목재자급률은 15.9%로 2019년(16.6%)에 비해 0.7%p 감소
    • 건설 경기 침체가 지속되어 국산 목재 생산량이 감소하였으나, 바이오매스용 펠릿 수입은 증가하여 목재자급률 감소
      • 펄프용 및 바이오매스용 목재 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
      • ※ 목재자급률 추이(%) : (’17) 16.4 → (’18) 15.2 → (’19) 16.6 → (’20) 15.9
  • 원목자급률은 60.3%로 2019년(62.0%)에 비해 1.7%p 감소
    • 건설수주 및 건축착공면적 증가로 원목 수입량이 증가한 반면 국내 원목생산량은 감소하여 원목자급률 감소
      • * 원목자급률 추이(%) : (’17) 57.4 → (’18) 60.2 → (’19) 62.0 → (’20) 60.3
      • * KDI 국내건설수주(조원) : (’19) 152 → (’20) 176, 증 15.8%
      • * KDI 건축착공면적(천㎡) : (’19) 110 → (’20) 124, 증 12.8%
[2020년도 목재수급 및 자급률]

(단위 : 천㎥)

2020년 목재수집 실적

이 표는 제재용,합판용,펄프용,보드용,바이오매스용,기타, 합계,원목,부산물, 제품의 국내재, 수입재, 자급률(%) 실적에 대한 2020년목재수집 실적표입니다.

구분 합계 국내재 수입재 자급률(%)
원목 부산물 제품 원목 부산물 원목 제품 원목 총목재
합계 27,925 6,718 398 20,809 4,447 4,049 398 23,478 2,669 20,809 60.3 15.9
제재용 5,225 3,110 - 2,115 564 564 - 4,661 2,546 2,115 - 10.8
합판용 1,874 117 - 1,757 - - - 1,874 117 1,757 - -
펄프용 10,069 904 - 9,165 904 904 - 9,165 - 9,165 - 9.0
보드용 2,662 1,245 - 1,417 1,239 1,239 - 1,423 6 1,417 - 46.5
바이오매스용 5,440 155 398 4,887 553 155 398 4,887 - 4,887 - 10.2
기타 2,655 1,187 - 1,468 1,187 1,187 - 1,468 - 1,468 - 44.7

* ’19년부터 국내재를 원목과 부산물로 구분, 수입재는 내수용과 수출용을 포함

* 기타용도는 주택, 표고자목, 장작, 목탄 등

2020년도 입목벌채(허가) 실적

벌채 구역면적은 128천ha로 전년대비 27.0% 증가, 벌채량은 5,457천㎥로 전년 대비 5.3% 증가
  • [벌채사업종별]
    • (벌채면적) 128천ha로 전년 대비(27천ha, 27.0%) 증가하였으며, 숲가꾸기 면적이 크게 증가
    • (벌채량) 5,457천㎥로 전년 대비(273천㎥, 5.3%) 증가하였으며, 숲가꾸기 및 산지전용은 증가, 수종갱신 및 피해목은 감소
      * 숲가꾸기 예산 증가로 벌채면적 및 벌채량이 증가하였으나, 큰나무가꾸기(골라베기) 및 병해충 피해목 사업량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
  • [산림소유별]
    • (소유별) 벌채구역은 국유림·민유림 모두 증가하였으나, 벌채량은 국유림은 감소하고 민유림은 증가하였음
[벌채 사업종별 벌채실적]

(단위 : ha, 천㎥)

벌채 사업종별 벌채실적

이 표는 벌채사업종별(수확벌채,수익간벌,숲가꾸기,수종갱신,피해목벌채,산지전용,기타) 과 소유별(국유림,사유림) 실적표입니다.

구분 2019년 2020년 증·감
벌채
구역
벌채
면적
벌채량 벌채
구역
벌채
면적
벌채량 벌채구역 벌채면적 벌채량
% % %
벌채
사업
종별
100,588 83,372 5,184 127,754 119,679 5,457 27,166 27.0 36,307 43.5 273 5.3
수확벌채 16,660 15,803 2,428 16,413 14,739 2,132 -247 -1.5 -1,064 -6.7 -296 -12.2
수익간벌 3,960 3,959 144 3,671 3,545 96 -289 -7.3 -414 -10.5 -48 -33.3
숲가꾸기 20,485 20,476 581 55,902 53,892 1,448 35,417 172.9 33,416 163.2 867 149.2
수종갱신 8,007 7,449 920 8,895 7,973 780 888 11.1 524 7.0 -140 -15.2
피해목 39,362 24,399 728 37,905 34,739 610 -1,457 -3.7 10,340 42.4 -118 -16.2
산지전용 11,456 10,817 356 4,719 4,554 374 -6,737 -58.8 -6,263 -57.9 18 5.1
기타 658 469 27 249 237 17 -409 -62.2 -232 -49.5 -10 -37.0
소유별 100,588 83,372 5,184 127,700 119,679 5,457 27,112 27.0 36,307 43.5 273 5.3/th>
국유림 12.035 12,305 696 13,539 12,806 671 1,504 12.5 2,501 24.3 -25 -3.6
민유림 88.553 73,067 4,488 114,161 106,873 4,786 25,608 28.9 33,806 46.3 298 6.6

2020년도 입목 벌채지 산물 수집 실적

원목 수집량은 전년 대비 5.4% 감소(4,312 → 4,080, 감 232천㎥)
[벌채사업종별]
  • (수집량) 4,080천㎥로 전년 대비(△232천㎥, △8.4%) 감소
    • 숲가꾸기, 산지전용에서 증가한 반면 수익간벌, 피해목에서 감소
  • (수집률) 74.8%로 전년 대비(△8.4%p) 감소
    • 숲가꾸기, 산지전용에서 증가한 반면 수익간벌, 피해목에서 감소
[소유별]
  • (수집량·수집률) 국유림 및 민유림 모두 감소

  • * 숲가꾸기 예산 증가로 숲가꾸기 수집량 및 수집률이 증가하였으나, 전체적으로 감소
[벌채 사업종별 원목수집 실적]

(단위 : 천㎥)

벌채 사업종별 산물 수집실적

이 표는 벌채사업종별(수확벌채,수익간벌,숲가꾸기,수종갱신,피해목벌채,산지전용,기타) 과 소유별(국유림,사유림) 의 수집실적표입니다.

구분 2019년 2020년 증·감
수집량 수집률(%) 수집량 수집률 수집량 수집률(%)
%
벌채
사업
종별
4,312 83.2 4,080 74.8 -232 -5.4 -8.4
수확벌채 2,336 96.2 2,039 95.6 -297 -12.7 -0.6
수익간벌 115 79.9 70 72.9 -45 -39.1 -7.0
숲가꾸기 84 14.5 457 31.6 373 444.0 17.1
수종갱신 833 90.5 700 89.7 -133 -16.0 -0.8
피해목 626 86.0 454 74.8 -170 -27.2 -11.2
산지전용 300 84.3 343 91.7 43 14.3 7.4
기타 18 66.7 15 88.2 -3 -16.7 21.5
소유별 4,312 83.2 4,080 74.8 -232 -5.4 -8.4
국유림 533 76.6 497 74.1 -36 -6.8 -2.5
민유림 3,779 84.2 3,583 74.9 -196 -5.2 -9.3

2020년 주요 수종별 벌채 현황

벌채면적 및 벌채량
  • (벌채면적) 침엽수 67.3%, 활엽수 32.7% 비율
    • 벌채면적 비율(%) : 소나무(49.6)>참나무(17.9)>기타활엽수(14.7)>낙엽송(5.7)
      • * 수집면적 비율(%) : 소나무(54.7)>참나무(17.9)>기타활엽수(14.7)>낙엽송(6.8)
  • (벌채량) 침엽수 59.0%, 활엽수 41.0% 비율
    • 벌채량 비율(%) : 소나무(34.3)>참나무(26.9)>기타활엽수(14.0)>낙엽송(10.1)* 수집량 비율(%) : 소나무(33.0)>참나무(28.0)>낙엽송(11.8)>기타활엽수(13.1)
  • (소나무)재선충 방제, 산불피해목 등 임목축적량의 0.49%, 연평균 생장량의 15.7%
    • 벌채량(1,873천㎥) : 개벌 1,113(59.5%) > 간벌 549(29.3%) > 기타 210(11.2%)
      • * ha당 벌채량(㎥) : 개벌 79.6>간벌 24.9>기타 9.0 ※ ha당 평균 벌채량 31.5
  • (낙엽송)수확벌채로 임목축적량의 1.57%, 연평균 생장량의 50.6%
    • 벌채량(550천㎥) : 개벌 449(81.6%) > 간벌 100(18.3%) > 기타 1(0.2%)
      • * ha당 벌채량(㎥) : 개벌 152.2 >간벌 26.2 > 기타 68.1 ※ ha당 평균 벌채량 80.9
  • (리기다소나무)수종갱신을 위해 임목축적량의 0.85%, 연평균 생장량의 27.5%
    • 벌채량(379천㎥) : 개벌 268(70.7%) > 간벌 108(28.5%) > 기타 3(0.8%)
      • * ha당 벌채량(㎥) : 개벌 124.6>간벌 56.8 > 기타 47.5 ※ ha당 평균 벌채량 92.1
  • (참나무)표고자목 및 펄프용 등 임목축적량의 0.53%, 연평균 생장량의 17.2%
    • 벌채량(1,468천㎥) : 개벌(왜림) 1,081(73.6%) > 간벌 380(25.9%) > 기타 7(0.5%)
      • * ha당 벌채량(㎥) : 개벌 128.6>간벌 29.6>기타 51.0 ※ ha당 평균 벌채량 68.7
소유별 주요수종 벌채 현황
  • 소유별 벌채량 비율은 국유림 12.3%, 민유림 87.7%
    • 국유림(천㎥) : 기타활엽수208(31.1%)> 소나무 152(22.7%)>낙엽송 143(21.3%)>참나무 101(15.0%)
    • 민유림(천㎥) : 소나무1,721(36.0%)>참나무 1,367(28.6%)>기타활엽수553(11.6%)>낙엽송 407(8.5%)
      * 소나무 벌채량(천㎥) : 경북 392(20.9%) >경남 317(16.9%) >강원 277(14.8%)> 전남 197(10.5%)
      * 낙엽송 벌채량(천㎥) : 강원 113(20.5%)>충북 95(17.3%)>경북 84(15.3%)>전북 36(6.5%)
      * 리기다소나무 벌채량(천㎥) : 충남 78(20.6%)>전북 55(14.5%)>전남 52(13.7%)>경기43(11.3)>충북35(9.2)
      * 참나무 벌채량(천㎥) : 경북 443(30.2%)>강원 192(13.1%)>충남 179(12.2%)>충북 166(11.3%)

2020년 용도별 국산목재 공급 실적

국산목재 공급량은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4,605 → 4,447, △158천㎥)
  • (소유별) 목재공급량 비율은 국유림 11.9%, 민유림 88.1%
    • 국유림 531천㎥로 전년대비(△29천㎥, △5.2%) 감소
    • 민유림 3,916천㎥ 전년대비(△129천㎥, △3.2%) 감소
  • (용도별) 바이오매스 및 합판용 증가, 펄프용 및 제재용 등 감소
    • 증가(%) : 바이오매스용(207.3), 부산물(24.9)
    • 감소(%) : 펄프용(△9.0), 톱밥용(△25.5), 표고자목용(△26.9), 제재용(△12.0)
      * 용도별 비율(%) : 펄프용(47.8)>제재용(13.3)>바이오매스용(14.9)>표고자목용(4.3)>톱밥용(3.5) 순
  • 원목 외 미이용부산물 활용을 위한 수집량 증가 추세
    • 부산물 수집량 및 비중(천㎥/%) : (’19) 293/6.4 → (’20) 366/8.2
[용도별 국산목재 공급 실적]

(단위 : 천㎥)

용도별 국산목재 공급 실적

이 표는 용도별(제재용,합판용,펄프용,보드용,바이오매스용,토목·갱목용,한옥·목조주택용,표고자목용,톱밥용, 장작용, 목탄용, 기타), 소유별(국유림, 민유림) 수량, 비율의 2018년,2019년 증감표입니다.

구분 2019년 2020년 증·감
수 량 비율(%) 수 량 비율(%) 수 량 비율(%)
용도별 4,605 100 4,447 100 -158 -3.4
제 재 용 673 14.6 592 13.3 -81 -12.0
합 판 용 2 0.0 16 0.4 14 700.0
보 드 용 21 0.5 29 0.7 8 38.1
칩,펄프용 2,336 50.7 2,125 47.8 -211 -9.0
바이오
매스용
96 2.1 295 6.6 199 207.3
기타용 토목·갱목용 - - 1 0.0 - -
한옥·목조
주택용
1 0.0 1 0.0 - -
표고자목용 260 5.6 190 4.3 -70 -26.9
톱 밥 용 208 4.5 155 3.5 -53 -25.5
장 작 용 62 1.3 66 1.5 4 6.5
목 탄 용 57 1.2 23 0.5 -34 -59.6
기 타 596 12.9 588 13.2 -8 -1.3
소유별 4,605 100 4,447 100 -158 -3.4
국유림 560 12.2 531 11.9 -29 -5.2
민유림 4,045 87.8 3,916 88.1 -129 -3.2

※ 지자체 입목벌채허가(신고)를 기준 공급량으로 실제 목재 유통과는 차이가 있음

추가 닫기

2020년 목재수출입 현황

  • 목재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22,696 → 22,583, △113천㎥)
    • 바이오매스용, 합판용은 증가한 반면, 펄프용과 제재용 등은 감소
      * 증가(천㎥, %) : 바이오매스용 601(14.0), 합판용 9(0.5)
      * 감소(천㎥, %) : 펄프용 370(△4.2), 장작용 182(△15.7), 제재용 29(△0.6), 보드용 118(△4.2), 목탄용 16(△13.0)
  • 목재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5.0% 증가(365 → 895, 530천㎥)
    • 펄프용 수출은 크게 증가하였으나 제재용은 감소
      코로나19 영향으로 포장재용 펄프 수요가 크게 증가 하였음
[용도별 목재수출입 실적]

(단위 : 천㎥)

용도별 국산목재 공급 실적

이 표는 수입용도별(제재용,합판용,펄프용,보드용,바이오매스용,토목·갱목용,한옥·목조주택용,표고자목용,톱밥용, 장작용, 목탄용, 기타), 수출용도별(제재용,합판용,펄프용,보드용,바이오매스용,토목·갱목용,한옥·목조주택용,표고자목용,톱밥용, 장작용, 목탄용, 기타) 수량, 비율의 2018년,2019년 증감표입니다.

구분 2019년 2020년 증·감
수 량 비율(%) 수 량 비율(%) 수 량 비율(%)
수입 22,696 100 22,583 100 -113 -0.5
제 재 용 4,673 20.6 4,644 20.6 -29 -0.6
합 판 용 1,860 8.2 1,869 8.3 9 0.5
펄프용 8,728 38.5 8,358 37.0 -370 -4.2
보 드 용 1,514 6.7 1,396 6.2 -118 -7.8
바이오
매스용
4,286 18.9 4,887 21.6 601 14.0
기타용 토목·갱목용 1 0.0 2 0.0 1 100.0
한옥·목조
주택용
153 0.7 150 0.7 -3 -2.0
표고자목용 - - - - - -
톱 밥 용 13 - 7 - -6 -46.2
장 작 용 1,157 5.1 976 4.3 -180 -15.6
목 탄 용 127 0.6 110 0.5 -17 -13.4
기 타 184 0.8 184 0.8 0 0.0
수출 365 100 895 100 530 145.2
제 재 용 36 9.9 17 1.9 -19 -52.8
합 판 용 5 1.4 5 0.6 - -
펄프용 258 70.7 807 90.2 549 212.8
보 드 용 32 8.8 27 3.0 -5 -15.6
바이오
매스용
- - - - - -
기타용 토목·갱목용 - - - - - -
한옥·목조
주택용
3 0.8 3 0.3 0 0.0
표고자목용 - - - - - -
톱 밥 용 - - - - - -
장 작 용 - - - - - -
목 탄 용 1 0.1 0.3 0.1 - -
기 타 30 8.2 36 4.0 6 20.0

※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를 근거로 작성

※ 기타용도는 목재상자·팔레트, 주방용품, 이쑤시개 등

원목시장가격 동향

  • 건설용도의 침엽수 가격은 하락한 반면 활엽수 가격은 정체
    • 건설경기 침체, 강원도 산불피해목의 원료재급 공급 과잉으로 침엽수 가격은 하락하였으나, 펄프용 및 연료용 활엽수 가격은 전년 수준
      * 증가(%) : 낙엽송 1등급(0.2)
      * 감소(%) : 편백 1등급(△7.1), 소나무 원료재(△6.9), 낙엽송 원료재(△6.1), 잣나무 원료재(△5.1)
  • 정부의 3기 신도시 주택공급 기조 등에 따라 가격 회복 전망
    • 건설부분의 착공 및 수주가 ’20년 하반기 이후 증가세며, 주택건설 관련 예산 증액 등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기조 전망
[원목 시장가격 동향]

(단위 : 원, %)

원목 시장가격 동향

이 표는 2018년, 2019년 등급별(소나무1등급, 소나무원료재, 낙엽송1등급, 잣나무1등급, 잣나무원료재, 리기다1등급, 리기다원료재, 편백1등급, 참나무1등급, 참나무원료재) 원목 시장가격 동향에 대한 안내표입니다.

등급 2019년 2020년 전년
동기
대비증·감
(b-a)
전년
동기
대비
증·감율
(b-a)/a
3년
평균
증감율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a) 연평균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b)
소나무2등급 193,700 192,600 189,700 189,500 191,375 172,900 171,900 171,800 171,700 △17,800 △9.4 △4.1
소나무원료재 63,500 62,900 61,600 59,500 61,875 54,600 52,200 50,800 52,600 △6,900 △11.6 △6.3
낙엽송2등급 147,400 147,300 147,100 147,300 147,275 146,300 145,500 145,200 145,100 △2,200 △1.5 0.2
낙엽송원료재 64,000 63,400 62,100 60,100 62,400 54,700 52,300 50,700 53,000 △7,100 △11.8 △6.1
잣나무2등급 141,900 141,900 141,800 141,800 141,850 139,800 139,000 139,000 139,000 △2,800 △2.0 0.0
잣나무원료재 63,200 62,600 61,300 60,000 61,775 54,900 52,200 50,300 52,700 △7,300 △12.2 △5.8
리기다2등급 119,400 119,400 119,400 119,400 119,400 118,800 118,400 118,400 118,400 △1,000 △0.8 △0.3
리기다원료재 63,300 62,700 61,500 60,900 62,100 55,100 52,000 50,200 52,600 △8,300 △13.6 △6.1
편백2등급 218,500 211,900 204,400 204,400 209,800 193,800 192,100 190,500 189,800 △14,600 △7.1 △6.2
참나무2등급 108,400 108,400 108,400 108,400 108,400 104,600 104,600 104,600 104,600 △3,800 △3.5 △1.2
참나무원료재 68,000 68,000 68,000 68,000 68,000 67,500 66,300 61,700 62,400 △5,600 △8.2 △1.0

※ 국산재 원목 시장가격 동향(2020년 겨울호)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