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에서는 그동안 1,517개의 산림행정용어에 대하여 국립국어원의 검토를 거쳐 다음과 같이 순화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산림청 법률용어
산림청 법률용어
이표는 산림청 순화대상용어와 순화된용어의 법률용어 안내입니다.
순화대상용어 |
순화된용어 |
순화대상용어 |
순화된용어 |
간벌(間伐) |
솎아베기 |
수실(樹實) |
나무열매 |
감염목(感染木) |
병든나무 |
수원함양림(水源涵養林) |
수원함양보호구역 |
고사목(枯死木) |
죽은나무 |
수종(樹種) |
나무종류 |
국산재(國産材) |
국산목재 |
수하식재(樹下植栽) |
나무아래심기 |
도벌(盜伐) |
몰래베기 |
수형목(秀型木) |
우량개체나무 |
독림가(篤林家) |
우수 산림경영인 |
식재(植栽) |
나무심기 |
모수(母樹) |
어미나무 |
영림단(營林團) |
산림경영단 |
방화선(防火線) |
산불진화선 |
요존국유림(要存國有林) |
보전국유림 |
벌채(伐採) |
나무베기 |
용기묘(容器苗) |
용기 묘목 |
보안림(保安林) |
산림보호구역 |
운재로(運材路) |
나무운반길 |
분수림(分收林) |
수익분배산림 |
육림(育林) |
숲가꾸기 |
불요존국유림(不要存國有林) |
준보전국유림 |
임령(林齡) |
숲나이 |
수간(樹幹) |
나무줄기 |
임황(林況) |
숲 현황 |
수고(樹高) |
나무높이 |
지황(地況) |
토지 현황 |
수관(樹冠) |
나무갓 |
집재(集材) |
나무쌓기 |
수령(樹齡) |
나무나이 |
표주(標柱) |
(경계)푯말 |
수목(樹木) |
나무 |
혼효림(混淆林) |
혼합림 |
매취사업(買取事業) |
매매사업 |
초본류(草本類) |
풀종류 |
물매 |
기울기, 경사 |
본수(本數) |
그루수 |
산림경영관리사 (山林經營管理舍) |
산림경영관리건물 |
산불계도(山火啓導) |
산불예방활동 |
상승사면(上昇斜面) |
오르막비탈면 |
하강사면(下降斜面) |
내리막비탈면 |
시방서(示方書) |
설명서 |
암석지(巖石地) |
바위지역 |
예찰(豫察) |
미리살펴보기 |
옹벽(擁壁) |
축대벽 |
임목(林木) |
숲의 나무 |
임종(林種) |
숲종류 |
차폐림(遮蔽林) |
가림막숲 |
천연하종(天然下種) |
자연씨뿌리기 |
한해(旱害) |
가뭄피해 |
|
|
사용빈도가 많은 산림행정용어
사용빈도가 많은 산림행정용어
이표는 산림청 순화대상용어와 순화된용어의 사용빈도가 많은 산림행정용어 안내입니다.
순화대상용어 |
순화된용어 |
순화대상용어 |
순화된용어 |
가식(假植) |
임시심기 |
선묘(選苗) |
묘목 고르기 |
간인(間引) |
솎아내기 |
설해목(雪害木) |
눈 피해목 |
간장(幹長) |
줄기길이 |
소경목(小徑木) |
작은 지름나무 |
간재적(幹材積) |
줄기부피 |
소경재(小徑材) |
작은 지름원목 |
강도간벌(强度間伐) |
강한 솎아베기 |
속성수(速成樹) |
빨리 자라는 나무 |
개벌(皆伐) |
모두베기 |
수간주사(樹幹注射) |
나무주사 |
개식(改植) |
다시심기 |
수라(修羅) |
나무운반 미끄럼틀 |
개엽기(開葉期) |
잎피는 시기 |
수렵지(狩獵地) |
사냥터 |
개화기(開花期) |
꽃피는 시기 |
수목표찰(樹木標札) |
나무이름표 |
결실기(結實期) |
열매 맺는 시기 |
수익간벌(收益間伐) |
수익 솎아베기 |
경급(徑級) |
나무지름크기 |
수피(樹皮) |
나무껍질 |
공동목(空洞木) |
속 빈 나무 |
수형(樹型) |
나무모양 |
관목(灌木) |
작은키나무 |
신초(新梢) |
새순 |
교목(喬木) |
큰키나무 |
신탄림(薪炭林) |
연료림 |
극인(極印) |
검사도장, 허가도장 |
약도간벌(弱度間伐) |
약한 솎아베기 |
근맹아(根萌牙) |
뿌리움 |
양수(陽樹) |
양지나무 |
근원경(根元俓) |
밑둥지름 |
역지(力枝) |
가장 굵은 가지 |
근장(根長) |
뿌리길이 |
연륜폭(年輪幅) |
나이테 너비 |
근주맹아(根株萌芽) |
뿌리움 |
열식간벌(列式間伐) |
줄 솎아베기 |
노령림(老齡林) |
늙은나무 숲 |
영림(營林) |
산림경영 |
단근이식(斷根移植) |
뿌리끊어심기 |
영림계획(營林計劃) |
산림경영계획 |
대경목(大徑木) |
큰 지름나무 |
영림기술자(營林技術者) |
산림경영기술자 |
대경재(大徑材) |
큰 지름원목 |
예불기(刈拂機) |
풀깎는 기계 |
대묘(大苗) |
큰 묘목 |
예비간벌(豫備間伐) |
미리 솎아베기 |
대벌(帶伐) |
줄베기 |
울폐도(鬱閉度) |
(숲이)우거진 정도 |
대절(帶切) |
줄기자르기 |
원구(元口) |
밑동부리 |
도복목(倒伏木) |
쓰러진 나무 |
유령림(幼齡林) |
어린나무 숲 |
도장지(徒長枝) |
웃자란가지 |
윤척(輪尺) |
나무지름 측정자 |
도태간벌(淘汰間伐) |
불량나무 솎아베기 |
음수(陰樹) |
음지나무 |
동령림(同齡林) |
같은나이 숲 |
이령림(異齡林) |
다른나이 숲 |
만경류(蔓莖類) |
덩굴류 |
임간(林間) |
숲속, 숲안 |
말구(末口) |
끝동부리 |
임간수련장(林間修練場) |
숲속수련장 |
맹아(萌芽) |
움 |
임내(林內) |
숲안, 숲속 |
맹아갱신(萌芽更新) |
움갈이 |
임목생장량(林木生長量) |
나무생장량 |
목상(木商) |
원목판매상 |
임연부(林緣部) |
숲가장자리 |
목재집재기(木材集材機) |
목재수집장비 |
임지시비(林地施肥) |
숲에 거름주기 |
목질계바이오매스 |
산림바이오매스 |
장뇌(長腦) |
산양삼 |
묘포(苗圃) |
묘목 밭 |
장령림(壯齡林) |
어른나무 숲 |
무육(撫育) |
가꾸기 |
재적(材積) |
나무부피 |
반지(返地) |
(토지)반환 |
전간재(全幹材) |
긴 통나무, 긴 원목 |
벌구(伐區) |
나무베기구역 |
종피(種皮) |
종자껍질 |
벌근(伐根) |
그루터기 |
중경목(中徑木) |
중간 지름나무 |
보식(補植) |
보충심기 |
중경재(中徑材) |
중간 지름원목 |
부후목(腐朽木) |
썩은나무 |
지엽(枝葉) |
가지와 잎 |
산록부(山麓部) |
산기슭 |
지조(枝條) |
가지 |
산복부(山腹部) |
산허리 |
천연림보육(天然林保育) |
천연림가꾸기 |
산업비림(産業備林) |
산업용비축림 |
치수(稚樹) |
어린나무 |
산정(山頂) |
산꼭대기 |
치수무육(稚樹撫育) |
어린나무가꾸기 |
산화경방기간(山火警防期間) |
산불조심기간 |
택벌(擇伐) |
골라베기 |
산화경방탑(山火警防塔) |
산불감시탑 |
하예(下刈) |
풀베기 |
삽목(揷木) |
꺾꽂이 |
화목(火木) |
땔나무 |
생장추(生長錐) |
나이테측정기 |
후계목(後繼木) |
차세대나무 |
석력지(石礫地) |
자갈땅 |
후동목(後棟木) |
자투리 나무 |
선목(選木) |
나무 고르기 |
흉고직경(胸高直徑) |
가슴높이지름 |
간맹아(幹萌芽) |
줄기움 |
개재목(介在木) |
낀나무 |
쌍간목(雙幹木) |
쌍줄기나무 |
잔존목(殘存木) |
남은나무 |
지주목(支柱木) |
버팀목 |
검척(檢尺) |
자로 재기 |
군식(群植) |
모아심기 |
극인타기(極印打記) |
검사도장찍기 |
동아(冬芽) |
겨울눈 |
맹지(盲地) |
길 없는 땅 |
목본류(木本類) |
나무종류 |
무육간벌(撫育間伐) |
숲가꾸기용 솎아베기 |
벌목(伐木) |
나무베기 |
비오톱(Biotop) |
소생물권 |
삼림(森林) |
산림 |
삽수(揷穗) |
꺾꽂이순 |
접수(?穗) |
접순 |
연기매각(年期賣却) |
연차별 매각 |
엽면시비(葉面施肥) |
잎거름주기 |
우드칩(wood chip) |
나무조각 |
이목(餌木) |
먹이나무 |
임관(林冠) |
숲지붕 |
임지비배(林地肥培) |
숲 거름주기 |
후계림(後繼林) |
후계숲 |
환상박피(環狀剝皮) |
돌려 벗기기 |
FGIS(Fores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산림지리정보시스템 |
의미에 맞게 쉽게 풀어서 사용-법률용어
의미에 맞게 쉽게 풀어서 사용-법률용어
이표는 산림청 순화대상용어와 순화된용어의 의미에 맞게 쉽게 풀어서 사용-법률용어 안내입니다.
순화대상용어 |
순화된용어 |
지장목(支障木) |
(작업에)지장을 주는 나무,(생육에)지장을 주는 나무 |
수관(樹冠) |
나무갓 |
수령(樹齡) |
나무나이 |
수종갱신(樹種更新) |
나무종류바꾸기, 나무종류갈이 |
수간(樹幹) |
나무줄기 |
벌기령(伐期齡) |
벌채시기에 도달한 나무나이 |
감염목(感染木) |
병든나무 |
영림단(營林團) |
산림경영단 |
방화선(防火線) |
산불진화선 |
입목(立木) |
서있는 나무 |
입목벌채(立木伐採) |
서있는 나무 베기 |
임상(林相) |
숲 모양, 숲 모습, 숲 형태 |
임황(林況) |
숲 현황 |
임령(林齡) |
숲나이 |
고사목(枯死木) |
죽은나무 |
굴취(掘取) |
캐냄(캐기), 파냄(파기) |
지황(地況) |
토지 현황 |
의미에 맞게 쉽게 풀어서 사용-행정용어
의미에 맞게 쉽게 풀어서 사용-행정용어
이표는 산림청 순화대상용어와 순화된용어의 의미에 맞게 쉽게 풀어서 사용-행정용어 안내입니다.
순화대상용어 |
순화된용어 |
벌목조재(伐木造材) |
나무 베고 자르기 |
수목굴취(樹木掘取) |
나무 캐냄(캐기), 나무 파냄(파기) |
실생묘(實生苗) |
종자를 파종하여 기른 묘목 |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