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슈나이더식
슈나이더식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슈나이더식
영문명 Schneider's formula
한자명 슈나이더式
용어설명 택벌림 등과 같은 이령림에서 수확조정을 위하여 제안된 생장율 계산방법이 슈나이더식이다. 이 방법은 생장추에 의해 추출된 목편의 최근 1cm 에 포함된 연륜수를 측정한 후 그 임목의 흉고직경을 고려하여 생장율을 계산하는 것이다. 즉, 1cm의 목편의 연륜수에 의한 직경 생장량의 평균치는 이기 때문에 슈나이더식에 의한 직경생장율은 에 의하여 계산된다. 여기서, n은 연륜폭 1cm에 포함된 연륜수이고 d는 해당 임목의 흉고직경을 말한다. 또한 이론적으로 단면적 생장율은 직경 생장율의 2배이기 때문에 이며, 재적생장율에 의하여 계산되는데 k는 수고생장과 형수에 관계되며 일반적으로 400~800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상수 k의 범위는 비교적 변이의 폭이 커 독일의 소나무 동령임분의 예에서는 k가 1292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고, k의 하한치인 400은 수고생장이 정지된 극단적인 경우에 적용되며, Prodan (1965)은 임분에서는 일반적으로 수고 생장율과 직경 생장율을 같다고 보아 재적 생장율을 직경 생장율의 3배로 간주하여 k를 600으로 계산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보았다. 참조: 생장율.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