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유조직
유조직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유조직
영문명 parenchyma
한자명 柔組職
용어설명 유세포로 이루어진 식물조직. 고등식물의 기본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줄기와 뿌리의 피층ㆍ속[髓], 잎의 잎살, 과일의 과육 등과 같이 모든 기관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유조직은 관다발의 물관부나 체관부의 구성 요소가 된다. 선태식물과 그 밖의 하등식물은 몸 전체가 유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조직에는 약간의 세포간극이 있고, 유조직의 구성 요소인 유세포의 모양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세포벽이 얇고, 원형질 및 발달한 액포가 있는 산 세포이다. 유조직은 식물체내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그 기원이 다르며, 각각 줄기 끝과 뿌리 끝 등의 정단분열조직ㆍ형성층ㆍ엽연분열조직(葉緣分裂組織) 같은 분열조직에서 유래하지만, 곧 분화ㆍ성숙하여 영구조직으로서 각종의 중요한 생리작용을 하게 된다. 그 주된 것은 광합성에 관여하는 동화조직, 다육식물 특유의 저수조직, 덩이줄기ㆍ덩이뿌리ㆍ과육ㆍ배젖 등과 같이 영양분을 저장하는 저장조직 등이다. 또 타닌ㆍ수지ㆍ고무질ㆍ유액ㆍ점액 등을 분비하는 분비조직(또는 분비세포)도 포함된다. 유세포는 분화ㆍ성숙한 후에도 세포분열능력을 잠재적으로 보유하고 있는데, 분열 후 유세포로서의 성질을 상실하고 다른 조직으로 재분화하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식물체의 통상적인 생장과정에서 코르크형성층ㆍ떨켜ㆍ곁뿌리 등과 같은 조직으로 분화하는 것은 유조직 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식물체가 상처를 입으면 그 상처는 아무는데, 이것은 유조직 내에 유상조직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 속 등의 유조직을 떼내어 배양하면 활발한 세포분열 결과 뿌리나 줄기 등의 기관이 분화한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