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이리응애
이리응애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이리응애
영문명 predatory mite
한자명 捕食性葉蝨
용어설명 1940년대에 유럽에서 해충의 약제 저항성이 나타나서 이리응애류 등 천적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기술의 도입을 필두로 하여 1970년대에 환경문제와 함께 경제적 개념까지 도입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IPM이 확립되었다. 거미강 응애목 이리응애과에 속하는 포식성 응애로 오이이리응애(Amblyseius cucumeris )와 칠레이리응애 (phytoseiulus persimilis)는 총채벌레의 어린 유충을 하루에 4∼5마리의 총채벌레를 먹을 정도로 해충의 방제?과가 인정되어 농업에서 생물농약으로 이용된다. 포식성의 이리응애류가 우리나라의 활엽수종에서 많은 종들이 서식하는 것이 밝혀지고 있으며, 소수의 연구자들에 의하여 기초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