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사회적 할인율
사회적 할인율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사회적 할인율
영문명 social discount rate
한자명 社會的 割引率
용어설명 개인적 할인율이 개인 자신의 소비형태에 대한 개인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것인데 비해 사회적 할인율(own social discount rate)은 사회전체의 소비형태에 대한 사회전체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회적 할인율과 개인적 할인율은 그 수준에서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즉, 개인별 소비형태는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르나, 사회적 소비형태는 이를 개인별 소비형태를 종합하여 경제전체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소비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의 소비를 미래로 연기할 때 사회전체가 보상받아야 하는 할인율을 사회적 할인율이라 한다. 임업투자분석을 위하여 어떠한 할인율을 적용할 것인가에 대하여는 학자들간에도 많은 이견이 있다. 그러나 산림부문과 같이 공공성이 크게 대두되는 투자사업의 경우에는 사회적 할인율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이론상으로 타당하다. 그 이유는 공공투자사업일 경우에는 사회구성원전체의 의사를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 할인율을 정확히 추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외국의 경우에도 이를 정확히 추정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들은 투자사업의 특성에 따른 할인율을 정부가 개략적인 방법으로 추정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개발도상국의 경우는 8~10% 수준이거나 10%가 훨씬 넘는 국가들도 많고, 선진국의 경우는 보통 6% 수준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 할인율의 불확실성 때문에 야기되는 의사결정의 오차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감응도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수준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