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내동성
내동성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내동성
영문명 frost tolerance
한자명 耐凍性
용어설명 빙점이하의 온도에 있는 생물이 세포외 동결 또는 기관 외 동결을 일으켜 세포내 동결이 일어나지 않아서 빙점이하의 온도에도 견디어내며 생존할 수 있는 성질을 진성내동성이라고 한다. 탈수된 세포질은 내건성을 갖고 있어서 생존할 수 있다. 동결회피성과 더불어 생물의 내한성 메커니즘의 하나이다. 세포 밖에 얼음이 생성되면 얼음표면이 증기압이 세포내의 증기압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세포는 탈수로 수축하고, 세포 밖의 얼음은 더욱 커지게 된다. 내한성이 발달한 식물세포에서는 종종 세포벽과 세포막 사이에 얼음이 생겨서 동결원형질분리를 일으키지만 피해를 받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세포막의 물 투과성이 높은 식물일수록 내동성도 높다. 탈수된 세포의 삼투압은 높아져서 빙점이 내려가기 때문에 세포 내에 얼음이 생기지 않게 된다. 내동성이 낮은 식물은 세포의 물이 밖으로 나와 어는 비율이 적고(감자에서는 약 50%), 내동성이 큰 식물에서는 그 비율이 크다(밀에서는 약 90%). 월동생물에서 어떤 원형질적 조건이 갖추어져서 체내에 동해방어물질(예: 글리세롤)이 축적되면 내동성은 더욱 높아진다. 동결회피형 내동성의 또 다른 예로서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저온과 냉각원리가 있다. 온대활엽수의 목부유조직은 두꺼운 세포벽을 갖은 세포질의 수분이 완전히 탈수되지 않아, 삼투압이 낮은 상태에서 저온과 냉각의 원리로 -30℃~-45℃에서 액체의 물로 존재하여 세포가 살아남는다. 이 이하의 온도에서는 세포 내 동결이 일어나 세포가 죽게 된다. ⇒ 내한성.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