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임분밀도지수
임분밀도지수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임분밀도지수
영문명 stand density index, SDI
한자명 林分密度指數
용어설명 임분밀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지수와 비율을 표시할 수 있는 인자들, 즉 임목본수, 평균직경, 흉고단면적, 재적 등의 관계를 사용해 왔는데, 이러한 밀도척도 중의 하나가 동령림을 대상으로 Reineke가 제안한 임분밀도지수이다. 임분밀도지수는 동일한 단면적평균목직경(quadratic mean, DBH)를 갖는 단일 수종의 동령림에서 임목도가 서로 다르다 하더라도 단위면적당 최대임목변수는 거의 같다는 사실과, 서로 다른 단면적평균목직경을 갖는 임분에서 단위면적당 최대 임목본수를 나타내는 곡선을 직선화시켰을 경우 동일한 -1.605의 기울기를 갖는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단면적평균목직경이 10 inch일 때의 1 acre 당 임목본수를 기준으로 임분밀도지수 를 제시하였다. 이 식은 임분밀도의 상대적인 척도로서 예를 들어 단면적평균목이 3 inch이고 임목본수가 690본인 임분은 10 inch에 100본인 임분과 임분밀도지수 100으로 동일한 임분밀도를 갖는 것이다. 또한 임분밀도지수를 사용하면 언제 간벌을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참조: 임분밀도.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