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유엔식량농업기구
유엔식량농업기구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유엔식량농업기구
영문명 Foo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한자명 유엔食糧農業機構
용어설명 1943년 5월 미국의 프랭클린 D.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 대통령의 제창에 의해 개최된 식량농업회의를 모체로 하여, 1945년 10월 캐나다 퀘벡에서 소집된 제1회 총회에서 34개국의 헌장서명으로 발족했다. 모든 사람의 영양기준 및 생활향상, 식량과 농산물의 생산 및 분배 능률증진, 개발도상국 농민의 생활상태 개선, 이를 통한 세계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활동은 세계농업발전 전망에 관한 연구와 각종 기술원조 계획을 이행하고, 식량농업ㆍ임산물ㆍ어업 등에 관한 통계연감 발행하며, 식량의 부족과 잉여에 관해 세계적 규모로서 조정한다. 이를 위해 국제연합과 더불어 식량이 풍부한 지역의 과잉식량을 모아서 기아와 빈곤에 시달리는 지역에 분배하는 WFP(World Food Program: 세계식량계획)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관련 정보를 수집ㆍ분석ㆍ확산하며 정책과 기획에 관해 정부에 자문하고, 정부와 전문가들이 만나서 식량과 농업문제를 논의하는 중립적인 장을 제공한다. 국제연합 전문기구 중 가장 큰 기구로서, 본부 인원 2,300명 외에도 세계 각지의 현장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2,000명의 스태프가 있다. 최고집행기관인 총회 아래 이사회와 사무국이 있으며 계획ㆍ재정ㆍ헌장 및 법률문제ㆍ상품문제ㆍ수산ㆍ임업ㆍ농업ㆍ세계식량안보 등 8개 위원회가 있다. 모든 회원국으로 구성되는 총회는 2년마다 소집되는데, 식량과 농업상태와 FAO의 업무를 점검하고 계획과 예산을 승인하며, 3년 임기로 순환되는 49개 회원국으로 구성되는 이사회와 사무총장을 선출한다. 부설기관으로 IPC(International Popular Commission; 국제포퓰러위원회)ㆍIPFC (Indo-Pacific Fisheries Commission; 인도태평양수산위원회)ㆍIRC(International Rice Commission; 국제미곡위원회) 등이 있다. 회원국은 180개국이며, 한국은 1949년에 가입했다. 본부는 이탈리아 로마에 있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