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임내우량
임내우량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임내우량
영문명 rainfall in forest
한자명 林內雨量
용어설명 임내강우량. 산림 내에 내린 강우 중 여러 경로를 통해 임지면에 도달하는 비의 양으로, 산림에서의 총강우량(gross precipitation, Pg) 가운데 식물의 잎과 가지에 차단되어 증발함으로써 결국 임지면에 도달하지 못하는 강수의 일부, 즉 수관차단량(I)를 공제한 양인 셈이다. 따라서 임내우량은 Pn = Pg-I의 개념이 된다. 임내우량은 지면에 도달하는 경로에 따라 수관통과우량(throughfall, Th)과 수관적하우량(drip from crown, Dr) 및 수간유하우량(stemflow, Sf)으로 이루어지지만, 실제 관측과정에서는 수관통과우량과 수관적하우량을 분리 측정하기가 어려우므로 대개 통합된 양을 측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Pn = Sf+(Th+Dr)로 나타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관측이 어려운 수관차단량 I = Pg-Pn = Pg-Sf-(Th+Dr)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