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식물호르몬
식물호르몬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식물호르몬
영문명 plant hormone
한자명 -
용어설명 식물체내 일정부위에서 생성된 유기화합물이 다른 부위로 이동하여 생장 및 발육과정과 그 외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미량의 물질로서 정의할 수 있다. 현재 옥신, 지베렐린, 사이토카이닌, 아브시스산, 에틸렌 등이 밝혀져 있고, 상처호르몬, 개화호르몬 등의 존재가 예상되고 있다. 천연적으로 발견되는 옥신에는 indole acetic acid (IAA), 4-chloro-indoacetic acid (4-chloro IAA), phenylacetic acid (PAA), indole butyric acid (IBA)의 4가지가 있다. 인공적으로 합성된 옥신에는 naphthalene acetic acid (NAA), 2-4 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IBA 등이 있다. IAA는 주로 줄기 끝 분열조직, 잎과 열매에서 생성되어 유관속에 인접한 유조직을 통하여 하부로 운반된다. IAA는 뿌리의 생장, 정아우성, 제초효과 등의 생리작용을 한다. 지베렐린은 지베렐린 골격을 갖는 물질의 총칭이며, 주로 무상식물 (無傷植物)의 신장생장, 개화결실, 휴면타파 등을 촉진하고 GA3(지베렐린산)로 대표되는 생리작용을 갖는 물질이다. 종자, 어린잎, 뿌리끝에서 생성되어 목부, 사부를 통하여 상하부로 이동된다. 최근 과수에서 과실품질 향상에 많이 이용된다. 사이토키닌은 식물 배양세포의 세포분열을 일으키는 물질의 총칭이며 그 생리작용은 옥신이 존재할 때에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천연사이토키닌에는 zeatin, dihydrozeatin, zeatin riboside, isopentyl adenine, benzyladenine (최근 생체 내에서 발견) 등이 있다. 합성된 사이토키닌에는 kinetin, benzyladenine (benzylaminopurine) 등이 있다. 사이토키닌은 종자, 뿌리 끝에서 생합성되며, 주로 목부조직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세포분열, 기관형성, 노쇠지연, 정아우성 현상의 소멸 등의 생리작용을 한다. 아브시스산(abscisic acid)은 잎의 엽록체, 열매의 색소체, 뿌리, 종자의 배의 백색체와 전색소체에서 생합성이 일어나며 목부와 사부를 통하여 운반된다. 휴면유도, 잎, 꽃 열매의 탈리현상, 수분스트레스의 감지, 모체내의 종자발아억제 등의 생리작용을 한다. 에틸렌은 옥신을 처리했을 때 종자식물의 모든 조직에서 생성된다. 식물체내의 통도 조직으로 이동하지 않고 세포간극을 통하여 가스로 운반된다. 과실성숙의 촉진, 줄기와 뿌리의 생장억제, 개화촉진 등의 생리작용을 한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