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산림식물대
산림식물대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산림식물대
영문명 forest vegetation zone
한자명 山林植物帶
용어설명 1) 동일한 환경조건을 갖는 지역에 집합된 식물의 집단에 의하여 식물대가 인정되어 수목을 우선종으로 하는 식물대를 나누었을 때 산림대라고 한다. 세계적으로 많은 산림대 분류가 있으나 주로 온도에 관련시킨 임상의 대상변화를 기준으로 하는데 수평적 산림대와 수직적 산림대가 있음. 한 대림, 온대림, 난대림, 열대림 등과, 고산대, 아고산대, 산지대, 구릉대로 나눔. 열대에서는 강우가 많은 저지대의 다우림과 산지에서의 운무림, 건기가 긴 곳의 우록림과 사바나가 나타나며, 아열대에서는 건기와 우기가 발달하여 우록림, 사바나림, 사바나, 사막이 형성되고 건기가 짧은 아열대다우림이 나타나며, 난온대에서는 상록광엽수림과 경엽수림이 나타나며, 냉온대에서는 하록림이 발달하고, 아한대에서는 침엽수림이 대표적이며, 한대와 극대에서는 수목은 볼 수가 없다. 2) 산림식생이 나타나는 대상(帶狀)의 분포. 산림식생은 거시적인 기후조건, 특히 온도와 강수량, 그리고 그것들의 계절변동의 형태에 따라 우점하는 종이나 그 생활형이 변한다. 이 기후대에 대응하여 상관(相觀)이나 생활형으로 구별되는 산림식생을 군계라고 부르는 거시적 규모의 단위이고 생태계나 생활대단위와도 잘 일치하여 대상분포를 이루므로 산림식생대라고 한다. 식생대는 초원 등도 포함하기 때문에 산림에만 한하지 않지만, 산림대 혹은 산림식물대라고 할 때에는 임학적 의미를 강조하여 사용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그것을 그다지 의식하지 않으므로 식생대와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인다. 임학적 산림대에서는 단지 기후대의 이름으로 열대림, 난대림ㆍ아열대림, 온대림, 한대림 등으로 불러왔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