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자주빛날개무늬병의 학명,영명,일명,목명 및 과명,분포,가해수종,발생월,첨부이미지,형태,피해,생태,방제법,기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주빛날개무늬병
학명 Helicobasidium mompa Tanaka
학명 Violet root rot
일명 Murasaki-monpa-byo
분포 한국, 아시아
가해수종
발생월  
첨부이미지
형태 균사(菌絲)는 처음에는 백색이지만 나중에는 자갈색, 자색 혹은 갈색으로 되고 막(膜)은 약간 두텁고 격막(隔膜)을 가지며, 직경은 4~7㎛이다. 뿌리표면에는 아주 작은 균사덩이(균핵)가 형성된다. 자실층(子實層)은 땅가부분에 생기며, 부정형(不定形)으로 백색을 띤 자색(紫色)~복숭아색을 띤 백색가루가 덮혀있으며 쉽게 벗겨진다. 두께는 25~90㎛이며 균사틈에 담자병(擔子柄)을 형성한다. 담자포자(擔子胞子)는 무색이며 원주~곤봉모양으로 굽으며 3개의 격막
피해 이 병에 걸린 나무는 병세가 진전됨에 따라서 뿌리가 부패하여 수세가 점차 쇠약해지고, 건전목보다 일찍 낙엽이 지며 심하게 침해되면 뿌리가 빨갛게 말라 죽는다.
생태
방제법 이 병은 일단 발병된 후에는 방제가 어렵다. 따라서 환경조절과 재배면에서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잡목림을 개간한 때에는 그 후 수년간 이병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다량의 소석회(1,000㎡당 160~480kg)을 살포하여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한 후 묘목을 식재한다. 해마다 다량의 과실을 수확하든가 강한 가지치기를 하면 발생하기 쉬우므로 이점에 유의한다. 병든 나무를 뽑아낸 자리에는 토양살균제(土壤殺菌劑)로 토양소독을 실시한후에 파종 또는 식재를
기타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 평점 4.3/5 ]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