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벚나무깍지벌레의 학명,영명,일명,목명 및 과명,분포,가해수종,발생월,첨부이미지,형태,피해,생태,방제법,기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벚나무깍지벌레
학명 Pseudaulacaspis prunicola(Maskell)
학명
일명 Ume-Shiro-Kaigaramushi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뉴질랜드
가해수종
발생월  
첨부이미지 Pseudaulacaspis prunicola(Maskell) 이미지
형태
  • 암컷 성충의 깍지길이는 2.0∼2.5mm로 둥글며 백색∼회백색이다.
  • 수컷 깍지길이는 1mm로 백색이며 가늘다.
  • 몸은 황색∼황갈색이며 밑판에 비해 머리와 가슴이 크다.
  • 밑판은 세모꼴에 가깝다.
피해
  • 나무줄기나 가지에 모여 살면서 흡즙 가해하며 고약병을 유발 시킨다.
  • 피해가 심한 단목은 줄기에 솜을 붙여 놓은 것처럼 보인다.
생태
  • 연 2∼3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 4월 중순부터 산란을 시작하며 제 1, 2, 3세대 약충은 각각 5월 중순∼7월 중순, 8월 하순에 출현한다.
방제법

화학적방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8%) 2,000배액 또는 메티다티온 유제(40%) 1,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다.

생물적방제
- 포식성 천적인 무당벌레류, 풀잠자리류, 거미류 등을 보호한다.
물리적방제
- 피해가지와 줄기를 제거하여 소각한다.
- 밀도가 낮거나 발생량이 적을 때는 면장갑이나, 헝겊으로 문질러 죽인다.

기타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 평점 3.7/5 ]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