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밤나무둥근깍지벌레의 학명,영명,일명,목명 및 과명,분포,가해수종,발생월,첨부이미지,형태,피해,생태,방제법,기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밤나무둥근깍지벌레
학명 Comstockaspis macroporana (Takagi)
학명
일명 Katsura-Maru-Kaigaramushi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가해수종
발생월  
첨부이미지 Comstockaspis macroporana (Takagi) 이미지 Comstockaspis macroporana (Takagi) 이미지
형태
  • 암컷 성충의 깍지는 둥글고 직경은 약 2mm로서 표면이 매끈하며 검은색 또는 회갈색인 뚜렷하지 않은 줄무늬가 있다.
  • 각점은 중앙이 약간 부풀어 있는 곳에 있으며 체색은 담황색이다.
  • 수컷의 깍지는 타원형으로 암컷보다 작다.
  • 성충은 등황색이며 가슴, 더듬이, 교미기는 약간 암색을 띠며 날개를 편 길이는 약 1mm이다.
피해
  • 밤나무림에 돌발적으로 대발생하여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 1988년에 경기도 여주군에서 최초로 발생이 확인되었고 1992∼1993년에 경남 진양군, 하동군, 충남 부여군, 공주군, 전남 승주군 등에 대발생한 바 있다.
  • 일본에서는 1956년 발생이 확인된 이래 1960년대 중반부터 피해가 증가하였으나 1980년대 이후 충 밀도가 감소한 해충이다.
  • 평소 농약 사용이 많은 밤 재배지에서 대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생태
  • 연 2세대를 경과하며 월동세대의 분산 약충기는 6월 초순∼7월 초순, 제1세대는 9월 초순∼10월 초순이다.
  • 수컷은 완전변태를 하며 전용, 번데기시기를 경과하여 유시의 성충이되나 암컷은 불완전변태를 하며 종령 약충이 탈피함과 동시에 무시 성충이 된다.
  • 암컷 성충의 배면에서 탈출한 약충은 줄기에 분산 정착하며 구침을 수피에 삽입하여 수액을 흡수한다.
  • 1령 약충으로부터 유형성숙충(幼形成熟蟲)까지의 기간은 1개월 내외이며 암컷의 경우 다음 세대 산란기까지의 기간은 약 70일이 소요된다.
방제법

화학적 방제
- 사용가능한 농약 정보는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는 농약안전정보시스템(psis.rda.go.kr)에서 기주식물, 병해충명 등을 검색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생물적 방제
- 포식성 천적인 무당벌레류, 풀잠자리류, 거미류 등을 보호한다.
경종적 방제
- 약제 과용으로 해충 종간의 경쟁자가 모두 사라져 대발생하므로 해충 방제를 위한 약제 살포 과용, 연용, 남용을 자제한다.

물리적 방제
- 피해가지와 줄기를 제거하여 소각한다.
- 밀도가 낮거나 발생량이 적을 때는 면장갑이나, 헝겊으로 문질러 죽인다.

기타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 평점 2/5 ]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