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ZINE VOL.130
한반도 고산지역에
자생하는 희귀식물 이야기
         등대시호(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등대시호(Bupleurum euphorbioides Nakai)는 고산지대 및 깊은 산 속에서 자생하는 희귀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높이 15~30cm의 여러해 살이풀입니다. 한국 고유종으로, 잎은 황소의 늑골 모양으로 어긋나게 달리며 잎자루가 없습니다. 7~8월에 황색의 꽃이 산형화서로 줄기 끝과 가지 끝에 피며, 총산경은 10개입니다. 총포는 4~6개이고 달걀모양이며, 화관은 작습니다. 9~10월에 타원형의 자주색 열매가 익으며, 분리과는 배면이 약간 납작한 형상으로 등 면과 측면에 늑이 약하게 발달하며 간혹 날개 형상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1. 형태적 특징
  등대시호는 줄기가 직립하며, 근생엽은 장타원형이고, 경생엽은 이저 또는 전저로 줄기를 완전히 감싸며 난상 피침형 또는 광난형입니다. 정생하는 복산형화서를 중심으로 단순 취산배열을 하고, 식물체가 소형이며 소화경의 길이가 짧고 그 수가 20개에 이릅니다.
열매는 분열과(Schizocarp)로 익는데 종자는 길이가 약 0.3cm, 천립중은 1.9g입니다. 종자 형태는 좁은 타원형(Narrow-Elliptical)이며 종자 표면은 그물구조(Ruminate)로 나타납니다.
그림 4. 등대시호 종자 전체
그림 5. 등대시호 종자 측면
그림 6. 등대시호 종자 횡단면의 배 및 배유
그림 7. 등대시호 종자 표면(SEM 촬영)
2. 분포 및 생태
  우리나라의 해발 1,400m 이상의 고산지에서 서식하는 북방계 식물로, 강원도·평안북도·함경남도·함경북도 등지에 분포하며 백두산, 설악산, 소백산, 덕유산, 금강산, 묘향산 등 고산지대나 양지바른 초지, 바위틈 등에서 드물게 자생합니다. 고산성 식물이므로 여름철의 더위에 매우 약하며, 재배 시 바람이 잘 통하는 반그늘에서 재배합니다. 토양은 물 빠짐이 양호한 사질토양이 좋으며 습기에는 특히 약합니다. 특히, 산 정상부 능선의 등산로 주변에 위치한 등대시호는 파괴되어가고 있음으로 보호 대책이 필요합니다.
그림 8. 등대시호 분포지역
3. 보전 현황
  등대시호는 고산지역에 좁게 분포하며, 전국적으로 20여 곳 이상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채는 군집을 이루며 자랍니다. 고산성 식물로 꽃의 모양이 독특하기 때문에 채취위험을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IUCN 기준 B2ab(iii)에 의해 위기종(EN)으로 평가되었으며, 멸종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돼 산림청에서 보호하고 있습니다.
<참고문헌(References)>

Ahn, Jin-Kab, Lee, Hee-Cheon, Kim, Chul Hwan, Lim, Dong Ok, Sun, Byoung-Yoon Sun. 2008. Phylogeny and Conservation of the Genus Bupleurum in Nor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B. latissimum, Endemic to Ulleung Island in Korea. Kor. J. Env. Eco. 22(1) : 18~34.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Rare Plants in Korea. Sumeunkil Publishing Co., Seoul, Korea. 412pp.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SEED ATLAS OF KOREA. Sumeunkil Publishing Co., Seoul, Korea. 806pp.
Korea National Arboretum. 2018. SEED ATLAS OF KOREA(IUCN Red List plant seed). Blue-sensation Publishing Co., Seoul, Korea. 9pp.
Kong, Woo-seok, Kim, Kunok, Lee, Slegee, Park, Heena, Cho Soo-Hyun. 2014. Distribution ofHighMountain Plants and Species VulnerabilityAgainstClimateChange. J. of Environ Impact Assess, 23(2) : 119 ~ 136.
Sung, Jung-Won, Kang, Shin-Gu and Kim, Keun-Ho. 2020. Assesment of Protected Mt. Seorak Areas in Korea Applied by the Key Biodiversity Areas(KBAs). J. Korean Env. Res. Tech. 23(1):37∼48.

식물자원연구과
석사후연구원 최은지, 염다빈, 김휘민    박사후연구원 문애라, 김소담     임업연구사 손성원
copyright(c). KOREA NATIONAL ARBORET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