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 국립수목원 웹진
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이달의 나무와풀 곤충
11월에 만나는 나무와 풀 곤충
국

립수목원은 사계절 푸르른 「분비나무」를 11월의 나무로, 바위 위의 소나무로 불리는 「석송」을 11월의 풀로 선정하였다. 또한 11월의 곤충으로는 「극남노랑나비」를 선정하였다. 11월의 나무와 풀 곤충을 만나보자.

분비나무

나뭇잎이 떨어진 겨울은 잎지는나무(낙엽수)보다 늘푸른 나무가 더욱 돋보인다. 분비나무는 늘푸른키큰나무로 강원도 지역의 높은 산 능선부위에서 주로 자란다.
분비나무 수형, 분비나무 수피, 분비나무 구과, 구상나무 구과
분비나무의 잎은 선형으로 구상나무와 매우 비슷하다. 암꽃과 수꽃은 4-5월경에 한 그루에서 따로 피며, 구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4-5.5cm 정도이고 포편이 위를 향한다.
* 포편은 종린과 포린을 일컫는 말.
종린(실편): 소나무나 편백나무류의 암꽃을 이루는 비늘조각 중 밑씨가 붙어있던 목질성 조각
포린: 속씨식물의 포에 해당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특산식물 구상나무와 외형적으로 매우 닮았으나 포편, 잎, 수피 등의 차이로 구분된다. 분비나무는 포편이 위를 향하고 수피가 매끄러운 반면, 구상나무는 포편이 아래로 뒤집어지고 수피가 갈라지기도 한다. 또한 분비나무의 잎은 구상나무의 잎보다 통상적으로 길며 중부이북에 분포하나 구상나무는 덕유산, 지리산을 포함한 중부 이남지역의 높은 산에 분포한다.
분비나무는 수형이 아름다워 구상나무, 전나무와 같이 조경수로 많이 이용되며, 목재는 가볍고 연해 가공성이 좋아 건축, 가구, 제지, 펄프 등으로 사용된다.

석송

석송은 여러해살이풀로 잎이 가늘고 상록성이며 햇볕이 드는 숲속이나 바위틈에서 자라 '소나무와 비슷하다'하여 '석송(石松)'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석송, 개석송
석송은 한라산, 울릉도, 설악산 및 북부지방에 분포하며 원줄기가 지면으로 길게 뻗으면서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지고 드문드문 위쪽으로 가지를 만들어 지상부 줄기에 잎이 빽빽하게 달린다. 잎은 길이 4-6mm로 선형이며, 생식을 위한 포자낭수는 가지 끝에서 대가 길게 나와 끝에 3-6개가 달린다.
비슷한 식물로 '개석송'이 있으며, 설악산 이북 높은 지대에 자라고 석송과 비교하여 잎이 윤생하고 포자낭수에 대가 없는 특징으로 구분한다.
쓰임으로는 관상가치가 높아 원예용으로 많이 이용되며, 뿌리가 달린 전초를 신근초라 하여 거풍, 소염, 활혈 및 관절통, 근육통 등에 효능이 있고, 포자를 환약(丸藥)의 겉에 바르는 가루로 사용하였다.
극남노랑나비
암끝검은표범나비(암컷) 극남노랑나비(Eurema laeta (Boisduval))는 흰나비과 (Pier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북한에서는 남방애기노랑나비라고 불린다.
유충은 차풀, 비수리, 자귀나무 등을 먹는다.
'극남'은 남쪽의 맨끝을 의미하는데, 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인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에 분포하며 봄부터 가을까지 연 3-4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가을에는 충청남도, 경기도 도서와 내륙 및 강원도 동해안지역에서도 관찰되지만 월동하는 개체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극남노랑나비는 계절변이가 심한데 여름형은 5월부터 9월까지 나타나며, 앞날개 윗가장자리의 검은색 무늬가 차츰 아래로 좁아지고, 가을형은 10월부터 11월에 앞날개끝이 뾰족해져 근연종인 남방노랑나비와 잘 구별된다. 국명은 석주명 선생에 의한 것이다.
남한, 대만, 일본, 버마, 호주, 인도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