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공공재
공공재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공공재
영문명 public goods
한자명 公共財
용어설명 여러 사람이 동시에 소비할 수 있으며, 어떤 한 사람의 소비가 타인의 소비가치를 감소시키지 않고 똑같은 소비수준을 가지게 되며, 또한 잠재되어 있는 모든 소비자를 배제할 수 없는 재화와 용역을 말한다. 공공재에 있어서 '공공'이란 재화나 용역의 소비적 특성과 관련된 것이지 생산적인 면이 아니다. 요컨대 공공재는 공공(대중)에 의하여 소비되는 것을 말하며, 공공재의 생산은 정부도 할 수 있으며 사기업도 할 수 있다. 공공재가 지니는 특성은 소비의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는데, 즉 재화나 용역을 소비(사용)하는 데에 있어서의 비배제성과 집합적인 소비(비경쟁성)이 그것이다. 비배제성(non-exclusivity)은 공공재의 중요한 특성의 하나이다. 배제성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은 어떤 특정 소비자 이외의 다른 소비자를 그 재화의 이용 소비)으로부터 배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사유재의 경우에는 대가를 지불한 사람만이 그 재화를 소비할 수 있고,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사람은 그 재화의 소비에서 배제된다. 즉 그 재화의 사용으로 이득을 보는 사람이 그 재화의 공급에 드는 비용을 부담한다는 이른바 '수익자부담원칙'이 철저히 적용된다. 그러나 공공재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배제성이 적용되지 않는다. 즉 그 비용을 부담하지 않은 사람들이라고 해서 그 공공재를 이용(소비)을 배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공공재의 경우에는 수익자부담원칙이 잘 적용될 수가 없으며, 오히려 공공재의 비용 부담을 타인에게 미루고 무임승차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또 하나의 특성으로 집합적 소비 혹은 비경쟁성을 들 수 있다. 즉 모든 사람이 동시에 동일한 서비스(재화)를 이용할 수 있음을 뜻한다. 예컨대 어떤 사람이 공공재의 사용으로 혜택을 본다고 해서 다른 사람들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이 줄지는 않는다. 비경쟁성의 속성은 비배제성과는 달리 모든 사람들이 동시에 소비할 수도 있지만, 한 사람이 소비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또한 공공재의 종류에 따라 집합적 소비의 공간적 범위가 다르며, 공간상의 위치에 따라 집합적 소비의 편익이 다를 수 있다. 공공재가 소비에 있어서 비경쟁성과 비배제성의 속성을 완전하게 가지는 경우는 흔치 않다. 이 두가지 속성을 모두 가지는 것을 순수공공재라 하며, 두가지 중 하나의 속성만 지니고 있는 것을 준공공재라 한다. 순수공공재로는 경찰, 국방, 소방, 국민보건, 공원, 도로, (초등)교육 등 국민복지의 측면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들이 해당된다. 순수공공재는 그 속성상 시장경제에 의해서 공급되지 않는다. 그래서 순수공공재의 공급은 공공(정부)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무료로 공급하게 되며, 그 비용은 세금으로 충당하게 된다. 최근에는 산림의 공익기능도 주요한 공공재로 부각되고 있는데, 산림의 공익기능은 다시 환경기능과 문화기능으로 나눌 수 있으며, 환경기능은, 수원함양기능, 국토보전기능, 산림정수기능, 대기정화기능, 산림휴양기능, 야생동물보호기능 등이다. 문화기능은, 문학ㆍ예술ㆍ교육ㆍ종교 등의 터전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산림이 있음으로 해서 얻을 수 있는 심리적 안정과 정신적 만족감, 산림이 있음으로 해서 탄생되는 수많은 신화와 설화, 그리고 숲에서 탄생한 문학, 음악, 미술 등의 예술과 같은 산림의 문화가치 창출기능을 말한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