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4국립수목원 웹진
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산림생물연구
  • 지구상의 중요한 자연생태계, 습지
  • 사초
사초
사

초(Carex L., sedges)는 전세계적으로 대략 2,000여 종이 분포하는데 단일속으로는 최대 규모이다. 종다양성이 가장 높은 곳은 북미와 동아시아 지역이고 상대적으로 열대지역과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는 다양성이 낮다. 우리나라에는 150여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을 비롯한 사초속 식물 다양성의 중심지인 동아시아에 속하고 있고, 그간의 연구동향으로 볼 때 추후 연구가 진행된다면 분포종의 수가 더 늘어날 여지가 많다.

밀사초 자생지 모습 사초는 다양한 생태 지역에 서식하고 있다. 극지의 툰트라부터 고산지역, 산악지역, 숲속, 저지대의 습지, 해안 지역, 농경지 등 거의 전 생태지역에 분포하고 있는데, 시각을 바꾸어보면 사초가 그만큼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좋은 소재식물임을 반증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더군다나 사초가 가지고 있는 또다른 특성, 즉 근경의 신장 여부, 잎의 수명 등을 고려해 보면 조경이나 생태 복원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습지 또는 강가에 서식하는 사초류와 건조지에서 자라는 일부 사초들은 뿌리가 강하게 발달하고 흙을 지탱하는 힘이 크기 때문에 사방이나 침식 방지에 친환경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특히 수생식물을 이용하여 수변 경관을 조성하거나 수질을 개선하려는 공법이 많이 개발되어 있는데, 사초류는 이런 분야에도 활용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사초류의 종자는 새의 먹이가 되기도 하므로, 사초를 활용하는 것은 생태적인 건강도를 높이는데도 도움이 된다.
2. 습지에 형성된 천연 사초 군락
3.  전시원에 식재된 삿갓사초
사초는 일반적인 쌍자엽 식물과는 달리 단자엽 식물이 갖는 섬세하고 부드러운 질감이 잘 드러나는 식물로서, 사초가 위주로 된 식생은 시각적 만족감이 크고 주변 경관과 조화롭게 잘 어울린다. 또한 정원내에서도 다양한 광환경, 수분환경에서 지면을 채워 식재식물과 잘 어울리며 친환경적이다.
국립수목원에서는 사초의 이러한 특성에 주목하여 사초를 소재식물로 발굴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조경, 원예, 관상, 생태복원 등의 특성에 맞게 자생종의 특성을 파악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편 국내에 분포하는 일부 사초중에는 서식지가 제한적이거나 서식환경이 열악해져 멸종해 가는 종이 있는데, 이들의 보전을 위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4. 생육실험 중인 상록성 사초류(줄사초, 홍노줄사초)
5. 벽면녹화용 소재 개발을 위한 적용 실험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