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늘소과(Cerambycidae)는 외부 형태적으로 긴 더듬이를 가지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 때문에 longhorn beetles이라는 일반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늘소과는 전 세계적으로 약 3500종이 분포하는 큰 그룹으로 유충 기간에 특정 기주 식물의 목질부를 갈아먹으며 성충으로 성장한다. 이 때문에 산림 내에 주요 식식성 곤충으로 알려진 그룹이다. 또한, 한국산 하늘소는 미기록종 및 신종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승모(1987) 선생님의 "The Longicorn Beetles of Korean Peninsula'를 이후로 정리된 도감 및 기초자료가 부족한 상태이다. 오늘 소개할 주홍하늘소족(Tribe Trachyderini) 역시 긴 더듬이를 가진 하늘소과의 한 족이다. 주홍하늘소족은 "주홍하늘소"라는 이름에서부터 그들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주홍하늘소족에 포함되는 대다수의 종이 몸 전체에 주홍색과 다양한 무늬(반점)를 가진다(그림 1.) 한국산 주홍하늘소족은 총 3속 7종이 기록되어 있다(표 1). 본문에서는 한국산 주홍하늘소족의 동종이명(synonyms), 분포지역, 기주식물, 간단한 설명, 성충사진 및 도해 검색표(pictorial key)를 제공한다. (사진 및 검색표 출처: 산림생물조사과 최익제)
번호 |
학명 |
국명 |
|---|---|---|
| 1 | Amarysius altajensis (Laxmann,1770) | 무늬소주홍하늘소 |
| 2 | Amarysius sanguinipennis (Blessig,1872) | 소주홍하늘소 |
| 3 | Anoplistes halodendri (Pallas, 1776) | 먹주홍하늘소 |
| 4 | Purpuricenus (Sternoplistes) lituratus Ganglbauer, 1886 | 모자주홍하늘소 |
| 5 | Purpuricenus (Sternoplistes) sideriger Fairmaire, 1888 | 달주홍하늘소 |
| 6 | Purpuricenus (Sternoplistes) spectabilis Motschulsky, 1857 | 점박이주홍하늘소 |
| 7 | Purpuricenus (Sternoplistes) temminckii (Guérin-Méneville, 1844) | 주홍하늘소 |


전 세계적으로 5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에는 2종이 분포한다. 일반적으로 몸 전체에 무수한 연모를 가진다. 앞가슴등판은 원통형이며 검은색이다. 앞날개등판에는 특정 종에 따라 봉합선에 검은색 반점을 가진다.



전 세계적으로 11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에는 1종만이 분포한다. 앞가슴등판은 원통형이며 측면에 돌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 세계적으로 56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에는 4종이 분포한다. 일반적으로 앞가슴등판은 세로길이보다 가로길이가 훨씬 넓고 5개의 검은색 반점이 있다. 검은 반점의 크기나 모양은 개체변이가 다양하다.



※ 그림 2의 성충사진은 일본산 표본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