른 어느 때보다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력 등이 요구되는 요즘 시대에 맞춰 영 · 유아 교육, 나아가 태교 역시 중요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태내 교육이란 의미로 알려진 태교의 중요성은 최근 급속히 부각되었고 더불어 임신부의 심리상태에 대한 문제도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다. 숲을 이용한 태교, 휴양, 건강한 태아 출산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제공하게 된 산림문화서비스, 그것이 바로 태교의 숲 프로그램이다. 수목원의 전시원과 전나무림을 이용하여 임신부들에게 다양한 숲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진행된'숲 태교 프로그램'의 건강한 태교 현장 속으로 들어가 보자.
10월 한 달간 운영된 이번 프로그램은 매주 토요일 4회 연속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다. 참여자는 사전 참가자 및 일반 방문객 중 임신주수 12주 이상 30주 이하의 건강에 이상이 없는 임신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주제 또한 임부들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미술활동, 음악활동, 신체활동 등을 토대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부부가 함께 할 수 있도록 전나무 숲길 걷기, 만다라 만들기, 오카리나 연주, 숲속 교감, 삼림욕 체조 등의 활동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임신부들이 임신 중 스트레스와 운동 부족을 해소하고 심신안정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번 프로그램의 가장 주된 목적이었다.
피톤치드는 우리 인체에 세로토닌 호르몬 분비와 알파파 뇌파를 자극시켜 심신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준다고 밝혀져 있다. 따라서 요즘에는 많은 사람이 건강 증진을 위해 숲을 찾고 있다. 이번 '숲 태교 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전, 임신부들이 태교 프로그램 참가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모든 것을 임신부들의 상태에 맞추어 진행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전나무 숲 입장 전 · 후 자가진단 설문서를 통해 임신부들의 정서안정 정도와 모성 정체성을 측정하여 그 차이를 관찰하는 등 프로그램 실행 전 · 후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이번 프로그램의 장 · 단점 및 앞으로의 기대효과, 나아갈 방향 등에 대해 알 수 있는 중요한 척도였다. 만족도 및 심리 변화, 심리 상태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정서면이나 모성정체성 등에서도 긍정의 효과가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참가자 83%가 본 프로그램이 심신 안정에 큰 도움을 주었다고 대답하였고, 프로그램 횟수가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대답도 있었다. 숲 태교가 임신부들에게 신선한 자극과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증거였다.
우리의 자연은 숲을 끌어안고 있다. 그리고 숲은 우리를 끌어안는다. 어머니들의 어머니. 우리는 숲에서 안정을 느끼며 마음을 위로받는다. 흙을 밟고 맑은 공기를 폐 깊숙이 들이마시며 꽃을 보고 나무를 만지며 그렇게 숲에서 자연과 하나가 된다. 그러면 아직 세상에 나오지 않은 우리의 아이들 또한 엄마와 함께 숲을 느끼며 그 잠재의 기억을 바탕으로 자라날 것이다. 이것이 숲 태교의 중요성이라고 생각한다. 나아가 숲의 중요성인 것이다. 날마다 빠르게 변화하는 우리 현대사회에서 숲은 무엇보다 필요한 자산이며 보물이다. 그 자산을 온전하게 지켜내는 것이 우리가 할 일, 그 보물을 누군가에게 올바르게 전달하는 것 또한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숲 태교 프로그램에 참가한 우리 어머니들의 아이가 건강하게 태어나기를 바란다. 그 아이가 자라 어머니가 되어 다시 숲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얻을 수 있도록 우리는 우리 숲을 지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