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5 국립수목원 웹진
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이달의 발간도서
이달에 발간된 연구간행물 산림과학정보를 한눈에!! 이달에 발간된 연구간행물을 소개합니다. 세밀화로 보는 우리 숲에 심는 나무
세밀화로 보는 우리 숲에 심는 나무  책표지 국

립수목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따르면 우리나라 산림을 구성하고 있는 목본식물은 1,234종류에 달한다. 그 중 우리나라 자생목본 식물이 1,074종으로 가장 많고, 귀화 목본식물 7종, 조림이나 시험 목적 등으로 도입한 식물이 203종이다. 이들 목본식물 중에서 우리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림수종들은 그리 많지 않다.
1970~1980년대 치산 녹화사업기에 정부는 밤나무, 이태리포플러, 아까시나무, 잣나무 등 10개 수종을 식재하도록 권장하였고, 1988년부터 시작된 산지자원화계획기간 동안에는 21개 수종으로 확대하였다. 그러나 1988년부터 시작된 제 4차 산림기본계획 기간 중에는 주요 조림수종이 78개 수종으로 늘어났다. 산주들이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고 경영목적과 환경요인에 적합한 수종 을 식재할 수 있도록 다양화한 것이다.

2010년도 「세밀화로 보는조경수와 유실수」 도감에 이어 발간되는 「세밀화로 보는 우리 숲에 심는 나무」는 산림수종 가운데 산림청에서 선정한 주요 조림수종 78종에 대한 세밀화 도감으로, 각 종별 형태, 생육특성, 용도, 관리 방안등에 대해 기재 하였고, 각 종의 세밀화를 함께 수록하였다.

본문내용
조림수종 세밀화는 실물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일반 사진만으로 구분하기 힘든 조림수종들의 형질들에 대하여 일반인들이 더욱 쉽게 구분하고 알 수 있도록 꽃, 잎, 열매, 수피 등 각 종별 주요 형질들을 세부묘사 하였다. 특히, 소나무, 잣나무 등 침엽수류와 신갈나무, 굴참나무 등 활엽수류 등에 대해서는 형태적 특성들을 기재문과 함께 실어 조림수종의 식별과 이해에 도움을 주도록 하였으며, 수종별 특성을 영문으로 간략하게 기재하여 외국인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세밀화로 보는 우리 숲에 심는 나무를 통하여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림수종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폭이 더 넓어지고, 나무 그 자체가 지니는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