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홈으로

이전호 보기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

테마기획
10 2013  테마기획
송정화 / 전시교육과 임업연구사
  • 근현대 정원 "한국 정원의 역사 짚어보기 III
    • 현

      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에서 "정원"의 의미를 되짚어보기 위해 고조선에서부터 현대까지 한국 정원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지난 웹진에서부터 그 역사를 짚어보고 있다. 이번 10월 웹진에서는 근대 이후의 한국정원에 대해 살펴보겠다. 근대 정원은 이질적 양식의 도입 측면에서 '전통'과 '현대' 사이에서 배척당하고 있으며, 일본풍의 정원은 왜식정원이라고 불리며 전통에 위배되는 양식은 관심에서 제외되고 있었다. 이 원인은 근대시기의 신분제 변화와 경제력에 따른 지위 변화 가능성, 시대적 변화에 따른 전통적 규범 변화 등으로 전통 주택의 공간상의 변화가 일어났기 때문이다(장동수 외, 2009). 사상적으로는 실학사상, 외국문물과 사상, 과학기술 등이 반영되어 이들을 바탕으로 정원에 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이들은 크게 전통적 공간의 변화와 구성 요소의 변화로 나뉜다.

      • 전통적 공간의 변화

        • - '마당'의 변화
          비움의 공간인 '마당'의 개념이 정원으로 변화하면서 공간 내 구성요소의 형태와 빌도, 재료 등이 변화하였다.
        • - '수경기법'의 변화
          전통적 방지원도에서는 수경 처리가 단순하며 상징적인 의미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근대에 들어서는 외래 문물 유입과 실학 등으로 신기술에 대한 비중이 커져, 부정형의 계류 형식의 연못을 가진 회유식 정원이 나타났다.
        • - 정원 감상의 방법 변화
          정자나 건물에 머무르면서 감상하는 정적인 것에서부터 정원을 산책하며 즐기는 동적인 것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시각구조도 내부지향적 성향에서 정원위주의 감상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아산 외암리 건재고택 안채 - 사진출처 : 문화재청 ( www.cha.go.kr)
아산 외암리 건재고택 연못 - 사진출처 : 문화재청 ( www.cha.go.kr)
아산 외암리 참판댁 정원 - 사진출처 : 문화재청 ( www.cha.go.kr)
아산 외암리 참판택 사랑채 - 사진출처 : 문화재청 ( www.cha.go.kr)
아산 외암리 건재고택 마당정원
아산 외암리 송화댁 계류
      • 전통 구성 요소의 변화

        • - 외래 요소와 전통적 요소의 혼재
          서울 석파정의 중국식 정자, 윤보선가의 서양식 정원과 건물, 그 외 궁궐에서 사용하는 장대석 등의 기단 등을 조성한 것이 그 사례로 외래 요소와 전통적 요소가 혼재되어 정원에 나타난다.
        • - 상류 지향의 조성을 위한 석물 사용
          윤보선가의 정원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형상석, 석탑, 석등 뿐만 아니라 석파정 사례의 석교 등 그 형태나 놓는 위치 등에 따라서 다양한 석물의 사용이 나타난다.
      
서울 석파정 정자 - 사진출처:문화재청(www.cha.go.kr)
서울 윤보선가 정원 - 사진출처:문화재청(www.cha.go.kr)
서울 윤보선가 협문 - 사진출처:문화재청(www.cha.go.kr)
서울 윤보선가 건물 - 사진출처:문화재청(www.cha.go.kr)
      • 현대 이후의 한국 정원

        • 근대의 격변기를 지난 후, 현대 한국 정원의 경우 이렇다할 만한 뚜렷한 기준 없이 조영자의 개성에 맞춘 다양한 형태의 정원이 생겨났다. 건축 분야에 있어서는 한국성에 대한 기준이 어느 정도 세워져 있어, 전통을 그대로 답습하는 형태보다는 한국적으로 변형, 발전시키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정원 분야에 있어서는 아직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혹자에 의하면 근대 이전의 정원은 장소 중심의 공간이었으며, 현대의 정원은 물리적 대상의 장소보다는 정원에서 이루어지는 노동의 행위가 중요한 가치로 부상하였다고 의미를 두고 있어, 가꿈, 돌봄, 즐김의 행위에 담긴 의미를 중요시여겨 붉은 고무대야나 종이상자 속의 상추도 현대의 일상정원에 포함된다고 하였다(심과 조, 2012).
      
한국전통을 살린 건물1 - 프랑스 대사관 - 사진출처: 건축포토아카이브(http://cafe.naver.com/aqlab/1675)
한국전통을 살린 건물2 - 프랑스 대사관 대들보 - 사진출처: 건축포토아카이브(http://cafe.naver.com/aqlab/1675)
한국전통을 살린 건물2 -수졸당 (유홍준씨의 집, 건축가 승효상 작품)
한국전통을 살린 건물2 -수졸당 (유홍준씨의 집, 건축가 승효상 작품)
      이와 같이 근대에서부터 현대의 정원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형태로 변화해왔다. 현대인의 삶 속에서 한국 전통을 정원에 어떻게 표현해낼 것인가는 이제부터 우리들의 숙제이다. 단지 조선시대 전통정원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만이 한국의 전통성을 이어나가는 것은 아닐 것이다. 우리만의 방식으로 전통성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한국 전통성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시간을 내어 한국 정원을 답사해보는 것은 어떨까?
국립수목원소식지 WEBZINE